대구시교육청이 추진하고 있는 학교도서관 활성화사업과 '북워킹 운동'의 산파역을 맡고 있는 박순해 초등과장학관은 독서는 학생들의 창의성을 북돋우고, 교육과정 정상화에도 큰 도움이 된다고 강조했다.
박 장학관은 "어릴 때부터 꾸준한 책 읽기를 하면 사유하고 성찰하고 판단하고, 그것을 표현할 줄 아는 능력을 갖출 수 있다"고 밝혔다.
독서가 학생들의 공부에 방해가 된다고 걱정하는 부모들도 없지 않다는 지적에 박 장학관은 토플 만점을 받은 고교생이 문학작품에 심취했다는 신문 기사를 내보이며 고개를 가로저었다.
"깊이있는 문제를 풀고, 점점 강화되는 탐구.토론수업에 적응하려면 책을 읽는 것이 가장 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실제로 학교시험에서도 책 읽기는 '위력'을 떨치고 있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최근 초.중.고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개인적 배경요인을 조사한 결과 가정별로 보유한 도서가 0~10권인 초등생의 국어 평균점수가 54.9점인데 비해 200권 이상인 학생은 71.8점으로 도서 보유량과 학업성취도가 비례했다.
박 장학관은 "자녀들이 어릴 때 독서교육을 체계적으로 하지 못해 후회하는 부모들을 주변에서 더러 본다"며 "부모가 책을 읽는 모습을 자녀들에게 보여주는 것을 넘어 책을 읽고 그것을 토대로 자녀들과 대화를 하는 게 독서교육의 핵심"이라고 말을 맺었다.
이대현기자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조국 '된장찌개 논란'에 "괴상한 비방…속 꼬인 사람들 얘기 대응 안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