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건강칼럼-어깨통증 '참으면 병'

어깨 통증은 통증을 호소하는 재활의학과 외래환자 중 요통 다음으로 흔한 질환이다.

이같은 이유는 어깨의 복잡하고 독특한 구조에서 기인한다.

어깨 관절은 불안정한 구조로 되어 있어 일상생활을 원활하게 수행하는데 필요한 큰 운동성을 유지하기 위해 그 주변에 인대, 건(腱.힘줄), 근육 등으로 보강되어 있다.

이 복잡한 구조로 인해 다양한 질환이 유발되지만 환자에게는 그 증상이 단지 어깨 통증 또는 관절운동의 장애로만 나타나 정확한 진단과 치료가 어렵고 만성적인 통증이 되거나 심각한 운동장애를 유발하는 경우도 있다.

어깨 통증으로 병원을 찾는 환자들은 흔히 '오십견'이라는 진단을 받게 되는데 오십견은 어깨관절에 서서히 심해지는 통증과 함께 관절 운동의 제한을 유발하는 경우를 통칭하는 말이다.

대개 40세 이후 특히 50대에 가장 흔히 발생한다고 하여 오십견이라 불린다.

주로 어깨 관절의 퇴행성 변화에 의해 발생되고 그 밖에 수술 등으로 오랫동안 관절을 사용하지 못한 경우에도 발생되며 원인을 알지 못하는 경우도 많다.

또 목 디스크, 외상, 류머티스 관절염, 뇌졸중 등이 원인이 되어 발병하는 경우도 있다.

초기에는 단지 통증만 있다가 차차 어깨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게 된다.

팔을 올리거나 뒤로 돌릴 때 특히 통증이 심하여 옷을 입고 벗기가 어려워지고 머리 감기가 힘들며 팔을 부딪히면 극심한 통증으로 깜짝 놀라게 된다고 호소한다.

더 진행되면 야간에 통증이 심해져 통증이 있는 쪽으로 돌아눕지 못하는 등 수면장애까지 초래하게 된다.

어깨 통증으로 인해 어깨 주변 근육이 뭉치면서 통증은 더욱 심해지고 이 때문에 관절은 더욱 움직이지 못하는 악순환을 하게 된다.

심한 경우 목과 손가락 쪽으로 방사되는 통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오십견은 자연적으로 좋아질 수 있다고 하지만 그 기간이 1, 2년 정도 걸리고 일부 환자에서는 완전히 회복되지 않고 장애를 가지는 경우도 있다.

또한 어깨 통증은 빨리 치료하면 쉽게 좋아질 수 있는 병으로 조기 치료가 가장 중요하나 환자들의 대부분은 참거나 또는 부적절한 치료 후 너무 아파서 도저히 못 견딜 때까지 기다리다가 치료시기를 놓치고 병원에 와서 치료함으로써 상당기간의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

어깨 통증 치료방법 중 하나인 관절운동은 구축된 관절낭을 수동적으로 신장시켜 관절의 움직임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반드시 시행해야 한다.

하지만 심한 운동은 오히려 관절주위 조직의 손상을 악화시킨다.

운동 후 통증이 한 시간이상 지속된다면 운동방법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전문가와 상의해야 한다.

운동 방법은 천천히 통증을 견딜 수 있는 범위까지 어깨를 움직인 후 그 위치에서 약 10초간 유지하여 관절낭이 신장될 시간적 여유를 준 후 다시 천천히 원위치 한다.

처음에는 팔 늘어뜨려 돌리기(진자운동), 벽타고 올리기 등의 운동부터 시행해서 점차 외회전 스트레칭에서 내전, 내회전 스트레칭으로 운동범위를 증가시켜 나가는 것이 좋다.

대구가톨릭의료원 재활의학과 과장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