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설가 최인호(59)씨가 17년전 세상을 떠난 어머니를 그리워하며 쓴 자전적 가족소설 '어머니는 죽지 않는다'(여백 펴냄)를 내놓았다.
일기체 수필형식으로 써내려간 이 소설은 작가의 어머니가 예순여덟살 때 이야기에서 시작해 여든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말년의 삶을 어린시절에 대한 회상을 곁들여 그려나간다.
작가는 일흔살에 가까워진 어머니가 눈에 띄게 멋을 부리기 시작한 모습을 바라보며 그것이 외로움에서 비롯됐음을 간파한다.
그러나 그런 어머니의 외로움을 마음속 깊이 느끼지 못한다.
작가는 어머니가 노인학교에 다니는 것을 창피스러워 했고, 아들에게 용돈이나 요구하는 귀찮은 존재로 여겼다.
더구나 작가는 말년에 다리를 못쓰게 된 데다 치매까지 걸린 어머니가 이제 그만 돌아가시길 은근히 바랐던 '몰인정하고 이기적인 자식'이었다.
강원도에서 부유한 무역상인의 딸로 태어난 작가의 어머니는 외조부의 봉건적 사고방식 때문에 초등학교도 다니지 못했다.
그런 어머니는 변호사였던 작가의 아버지와 열여덟살에 결혼해 아홉남매를 낳았고, 그 중에 세 명을 잃었다.
작가는 남은 3남3녀 중 다섯째였다.
부산에서 피란생활을 하다 서울로 올라왔지만 아버지가 마흔여덟살로 세상을 뜨자 작가의 어머니는 하숙을 치며 어렵사리 여섯남매를 키웠다.
작가는 당시 넉넉지 않은 생활 속에서 자주 어머니와 반목했던 불효자식이었다고 소설에서 고백했다.
작가는 "어머니에 관한 글을 묶은 원고를 읽고 교정하면서 많이 울었다.
새삼스러운 그리움 때문이 아니라 살아생전 어머니가 얼마나 외로웠을까 하는 슬픔이 솟구쳐 올라왔기 때문"이라며 어머니에 대한 짙은 그리움을 드러냈다.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李대통령 지지율 2주 만에 8%p 하락…'특별사면' 부정평가 54%
한문희 코레일 사장, 청도 열차사고 책임지고 사의 표명
국회 법사위원장 6선 추미애 선출…"사법개혁 완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