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부가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이하 대경과기원)을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분원 규모로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면서 지역사회의 커다란 반발을 사고 있다.
대경과기원 설립 활동에 정통한 지역의 한 인사는 최근 "오명 과기부 장관이 대경과기원을 KIST 분원으로 세우면 될 것을 굳이 특별법으로 만들 필요가 있었느냐고 언급했다"고 전했다.
전문가들은 "대경과기원은 이미 특별법으로 설립이 확정됐기 때문에 KIST 분원으로 설립될 가능성이 전혀 없는데도 과기부 장관이 그런 말을 했다면, 대경과기원을 지역사회가 바라는 것 보다 훨씬 적은 소규모 연구원으로 만들겠다는 의중을 드러낸 것"이라고 지역사회에서 도저히 용납하기 힘든 발상이라고 말했다.
전문가들은 또 "과기부 장관의 말은 대경과기원 입법을 반대하던 수도권과 대전 중심의 과학자들과 정부내에서 제기 됐던 것"이라며 "입법과정에서 국회와 청와대가 협력하고, 특별법으로 설립이 확정된 마당에 또다시 과거의 논란을 되풀이 하는 것은 대구, 경북지역을 무시하는 있을 수 없는 일"이라고 강력히 비난했다.
이와 관련, 이종현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종합조정실무위원(경북대 교수)은 "현재 정부와 과기부의 주요 관심사는 대전 대덕단지를 중심으로 한 R&D특구에 집중되어 있고, 대경과기원은 우선 순위에서 크게 멀어지고 있는 느낌"이라고 말했다.
대구시는 대경과기원 설립예산으로 내년에 700억원을 반영해줄 것을 요청했으나, 과기부 장관이 교체된 이후 난색을 표시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경과기원 설립위원이면서 21세기 낙동경제포럼 대표이사로 대구개발 계획을 구상하고 있는 김만제 대경과기원 설립위원은 "과기부가 대경과기원 설립작업에 너무 소극적이어서 상당한 위기 상황"이라면서 "대경과기원법을 대표 발의한 강재섭 의원을 중심으로 과기부의 자세를 바꾸기 위한 노력이 시작됐다"고 말했다.
대경과기원 문제를 다룰 국회 과학기술정보통신위에 상임위 배정을 신청한 강재섭 의원은 "이번주쯤 과기부의 입장과 계획에 대한 자료를 문서로 확보하고, 사실 확인 작업에 나설 계획"이라며 "과기부 장관 등을 대상으로 한 본격적인 문제 제기는 국회 상임위에서 이루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대경과기원의 '입지', 운영방향 등과 관련된 대구, 경북간 갈등은 합리적으로 풀어서 단합하는 모습을 보여야 중앙정부에 대한 설득력이 강해진다는 여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석민기자 sukmi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