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목재 폐기물 처리에 골머리

대구시, 주민반대로 소각장 못지어

대구시가 늘어나는 목재 폐기물의 소각처리를 놓고 골머리를 앓고 있다.

가정과 사무실 및 건축현장에서 반입되는 목재 폐기물의 증가로 시 소각장의 용량이 한계에 부딪혀 있으나 주민 반대로 소각장 추가 조성에 애를 먹고 있는 것.

문제의 발단은 시가 그동안 매립장으로 보내던 목재 폐기물을 지난해 4월 감사원 지적에 따라 '성서 소각사업소'(달서구 장동)로 옮겨오면서부터 비롯됐다.

화력이 센 목재 폐기물의 반입으로 소각설비 가동에 무리가 생겼을 뿐 아니라 늘어난 목재 폐기물의 양만큼 소각장에서 처리되던 일반 생활쓰레기가 매립장으로 향하게 된 것.

성서 소각사업소 관계자는 "목재 폐기물의 발열량은 2천500k/cal 이상으로 현재 소각로 설계용량(2천500k/cal)을 초과하고 있다"며 "이로 인해 지난 2002년 1일 520t가량에 이르던 전체 소각량이 최근 1일 460~480t으로 떨어졌다"고 말했다.

또 기준량을 초과하다 보니 소각로와 보일러에 잦은 고장이 발생할 뿐 아니라 연기처리 시설에도 큰 부하가 걸리고 있다는 것.

목재 폐기물 반입량도 지난해 30여t에 머물다 올들어서는 50여t으로 증가, 전체 소각량의 10%를 차지하고 있다.

사정이 이런데다 앞으로 음식물 분리수거가 시내 전 지역으로 확대될 경우 소각장 추가조성이 절실하지만 시는 주민 반대에 부딪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시가 계획중인 구지산업단지내 제2소각장은 2008년 이후에나 조성이 가능한데다 이마저도 1일 처리용량이 200t으로 시가 필요로 하는 600t의 3분의 1에 불과한 실정이다.

이와 관련, 대구시 이성대 폐기물관리과장은 "환경부도 '선 소각' '후 매립'을 권장하지만 현재 대구시 경우 일일 발생하는 가연성 쓰레기(1천200t)의 절반 가량만 겨우 소각한다"며 "장기적으로 제2소각장 뿐 아니라, 목재 폐기물 전용 소각시설도 절실한데 주민 반대로 입지선정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최병고기자 cb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