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는 발암성 유해물질인 '1,4-다이옥산'의 수돗물 오염 문제와 관련, 22일부터 5개 정수장과 가창.공산댐 및 낙동강에 대해 자체적으로 수질검사에 나서 오염 여부를 가리기로 했다.
대구시 상수도본부는 당초 7월1일부터 하기로 했던 '1,4-다이옥산' 수질 검사를 22일로 앞당기고, 자체 감시항목으로 지정해 지속적으로 관리하겠다는 것. 이를 위해 상수도본부는 '1,4-다이옥산'의 진단시약(Supelco 48367, Supelco 442251)을 일본의 제조업체에 긴급 주문했다.
상수도본부는 경북 구미공단의 일부 섬유업체에서 '1,4-다이옥산'이 배출된 것으로 확인된 만큼 낙동강을 집중적으로 조사하며, 예전에 '1,4-다이옥산'이 한때 검출됐던 대곡.두류정수장은 물론 고산.가창.죽곡 정수장의 수질도 함께 조사를 벌이기로 했다.
또 낙동강과 관련 없지만 '1,4-다이옥산'이 검출된 것으로 확인된 가창.공산댐의 수질조사도 실시해 오염경로를 밝혀내기로 했다.
임병헌 상수도본부장은 "그동안 '1,4-다이옥산' 검사 기술을 가진 직원이 없고 진단시약도 구하지 못해 국립환경연구원의 연구조사에 의존했다"며 "그러나 다음 주부터는 대구에서 자체 조사가 가능하고, 1시간이면 결과를 알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국립환경연구원에 따르면 가창댐은 2000년에 한번(21.6ppb), 2001년에는 세차례(240.2ppb, 26.06ppb, 4.526ppb) 검출됐으며 2003년에는 검출이 되지 않았다.
또 공산댐은 2001년에 27.306ppb와 181.716ppb가, 2003년에는 32.70 ppb와 1.036ppb가 각각 검출됐다.
세계보건기구(WHO)의 권장기준치(50ppb)보다 높은 경우는 각각 한차례씩이었다.
정인열기자 oxen@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단독] "김정숙 소환 왜 안 했나" 묻자... 경찰의 답은
원자력 석학의 일침 "원전 매국 계약? '매국 보도'였다"
"악수도 안 하겠다"던 정청래, 국힘 전대에 '축하난' 눈길
김문수 "전한길 아닌 한동훈 공천"…장동혁 "尹 접견 약속 지킬 것"
에이즈 숨긴 채 "담배 줄게"…여중생과 상습 성매매한 50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