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산 옥산2지구 공영주차장 유료화 이후 이 주변의 주차위반 차량에 대한 단속 문제가 '뜨거운 감자'로 등장했다.
이 공영주차장의 민간위탁을 받은 관리자는 "적정한 수입을 보장해 주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강력한 불법주차 단속을 주장하고 있다.
주변 상가 주민들 사이에서도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해서는 강력한 단속을 해야한다는 측과 위탁관리자를 위한 과잉단속이 아니냐는 의혹의 눈초리를 보내는 측으로 나눠져 논란이 일고 있다.
◇공영주차장 조성-폐쇄-개방
경북도는 지난 1995년 옥산동 옥산2지구 택지개발을 하면서 33억원의 사업비를 들여 근린공원 지하에 9천167㎡(2천773평)의 주차장을 만들었다.
한꺼번에 차량 300대 주차가 가능한 이 지하 공영주차장은 지난 1997년 6월 관리권을 경산시가 넘겨 받았으나, 운영도 한번 못하고 5개월 후 잠정 폐쇄됐다.
이후 6년 동안 애물단지 취급을 받아왔다.
인건비와 관리비 등 연간 1억5천여만원 정도의 경비가 들기 때문에 경제성이 떨어진다는 이유에서다.
이후 주차장 주변 일대에 상가와 음식점, 유흥업소 등이 늘어나면서 주차난이 심각해졌고, 주요 도로가 교통 체증을 빚자 지하 공영주차장을 활용해야 한다는 여론이 일었다.
이 같은 요구에 시는 폐쇄됐던 이 지하주차장을 개방하기 위해 지난해부터 최근까지 모두 3억5천664만원의 사업비를 들여 안전진단을 하는 등 '재단장'을 했다.
지난 5월에는 이 지하주차장(주차대수 330면)과 노외주차장(79면)을 일괄입찰방식으로 민간위탁자를 모집, 박모(36.압량면)씨가 1년간 5천115만원에 낙찰을 받아 지난 4일부터 유료로 운영 중이다.
◇속타는 위탁관리자
이 공영주차장은 유료로 개방했으나 이용자는 매우 적다.
위탁관리자 박씨는 "요즘 월주차 차량을 포함해 하루 평균 주차차량 수는 노외주차장 10~20대, 지하주차장은 적게는 2, 3대 많게는 10대 미만"이라고 말했다.
"돈 벌어 보겠다고 시작했으나 본전은 고사하고 요즘 같으면 인건비, 전기료 등으로 하루 평균 40여만원씩 손해만 보고 있다"고 했다.
공영주차장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는 노외주차장의 경우 그동안 무료로 운영하다 갑자기 유료로 전환해 굳이 주차료를 내고 주차하지 않기 때문이다.
지하주차장은 주차료를 지불하고 지하까지 가야하는 번거로움과 6년 동안 폐쇄됐다가 최근에 개방된 것을 잘 모르는것 등의 이유에서다.
"규정 주차요금인 1개월 8만원(노외), 6만원(지하)을 6만원과 4만원으로, 시간당 주차료(2천원)도 절반인 1천원으로 대폭 인하했으나 주차장 이용자가 없어 문 걸어 잠그고 떠나고 싶은 심정"이라고 말했다.
박씨는 "경산시가 연간 1억5천여만원이 들어갈 애물단지인 이 주차장을 민간위탁했으면 적정한 수입을 보장해 주어야 하는 것 아니냐"고 주장했다.
"무질서하고 혼잡한 옥산2지구 공영주차장 주변 주도로에 불법 주차한 차량에 대해 강력한 단속을 하지 않으면 누가 유료주차장을 이용하겠느냐"며 시 당국을 원망했다.
◇주차 단속 논란
이 공영주차장 이면도로와 골목길은 요즘 주차 전쟁 중이다.
공영주차장을 유료화하면서부터 차량운전자들이 주차할 곳을 찾아 들어가기 때문이다.
주민들은 최근 경산시가 이 일대 불법 주차 차량에 대한 단속을 강화한 것도 그 이유 중 하나로 보고있다.
번영2길의 한 상가 주인은 "이 공영주차장 유료화 이후 주차위반 단속을 피해 차량들이 대거 이면도로와 뒷골목으로 들어오면서 내 상가 앞에 주차하기도 어려워졌다"고 불평을 토로했다.
영업용 택시기사인 이모(43)씨는 "유흥업소와 음식점 등이 밀집한 옥산2지구는 야간이면 불법 주차차량으로 간선도로조차 교행이 어려울 정도여서 이곳으로 들어오길 꺼린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차량 운전자들과 상가 주민들 중에는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해서는 이 일대 불법 주차차량에 대해 보다 강력한 단속을 해 줄 것을 요구하는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반면에 또다른 상가 업주들 중에는 "공영주차장을 유료화하면서 불법주차 단속이 심해진 것 같다"며 "가뜩이나 경제가 어려운 마당에 과잉단속을 하면 장사마저 안된다"며 시에 항의한다.
"굳이 이용자가 많던 노외공영주차장을 계속 무료로 이용할 수 있도록 해 놓고 단속을 해야지 왜 유료화해 놓고 단속을 하느냐"며 강한 불만을 토로하고 시에 민원을 제기하고 있다.
◇주차금지구역 확대
경산시는 원활한 교통소통을 위해서는 이 공영주차장 일대에 대한 불법 주차 단속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시 교통행정과 안상달 과장은 "일부 시민들이 제기하는 공영주차장 유료화로 불법주차 차량 단속이 잦아졌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며 "평소와 같이 옥산 1.2지구와 경산시장 인근에 대한 주차위반 차량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단속을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진욱 담당자는 "옥산2지구 공영주차장의 유료화 이후 이면도로와 뒷골목으로 대거 주차 이동이 된 것은 사실"이라며 "이로 인한 민원이 많다"고 말했다.
그러나 시는 주차요금이 싼 공영주차장을 마다하고 뒷골목으로 가는 것을 막을 수 있는 것도 아닌 만큼 차량 운전자들의 의식에 맡길 뿐이라고 했다.
그러나 시는 옥산2지구의 원활한 교통 소통을 위해 주차금지 구역의 확대를 경찰에 지정(고시) 의뢰한 상태다.
경산농협 옥산지소~승리유통간(320m), 태왕한라타운 앞길(210m), 강변서로(350m) 등 3개 구간 880m에 대해 주차금지 고시를 추진 중이다.
공영주차장의 유료화 이후 '뜨거운 감자'로 등장한 이 일대 불법 주차단속 논쟁. 경산시가 그 논쟁의 중심인 주차난 해소와 원활한 교통소통이라는 두마리 토기를 잡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경산.김진만기자 factk@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