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 통과 방안 결정을 위한 설명회가 4일 오후 대구시청 대회의실에서 열렸다.
설명회는 이날 발족한 '고속철도 대구도심 통과방안 심의위원회'와 대구시 및 시의회, 관계 전문가 등이 참가했으며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 측이 △직선 지하화 △철도변 정비를 전제로 한 경부선 병행 지상화 △경부선 병행 3.2㎞지하박스(BOX) 등 3가지 방안을 비교 설명했다.
특히 눈길을 끈 것은 대전시(고속철 지상화)의 개발개념을 적용한 철도주변 정비사업 계획안. 이 계획안은 기존의 경부선 철길을 따라 고속철 신선(新線)을 까는 '병행 지상화 방안'이다.
선로 양편으로 방음벽과 10m에 달하는 완충녹지를 설치, 소음피해를 최소화하고 10m너비의 측면도로를 건설해 도심 교통소통을 증진시키는 것이 핵심 내용.
지상화 청원을 한 철로 주변 주민들도 철도 주변의 대규모 정비사업을 전제로 한 이 방안을 요구하고 있다.
한국철도시설공단 측은 이와 관련, 동구 신암동 구간(신천~동대구역)의 대구도시개발공사 아파트와 주공 아파트 사이를 박스 형태로 복개해 철길 위 부분을 인접 지표면과 동일하게 처리해 녹지 등으로 활용하고 도심의 남북을 잇는 방식을 모델로 제시했다.
공단 측은 "직선 지하화 방안은 도심통과시간이 10분40초 가량으로 지상화에 비해 7분 정도 짧고 92년 고속철 계획 수립 당시 제시했던 초안이어서 결정만 내려진다면 바로 착공에 들어갈 수 있다"며 "하지만 안정성이 염려되는 데다 기존의 경부선으로 인한 도시 양분화 문제는 여전히 미결과제로 남는다"고 밝혔다.
또 설명회에서는 각각의 도심통과방안과 관련한 토지 편입, 보상, 철길 주변 개발 등에 대한 논의도 이뤄졌다.
대구시 관계자는 "고속철 도심통과 방안은 시민여론을 충분히 수렴하고 장기적인 도시발전과 시민의 주거환경 개선을 종합적으로 반영해 결정할 것"이라며 "그러나 10여년 동안 논란이 지속된 만큼 이른 기간 내에 매듭짓겠다"고 밝혔다.
한편 경부고속철도 대구 도심통과 방안에 대해 시는 지난해 7월 '직선 지하화' 의견을 건설교통부에 제출했는데 최근 경부선 철로 주변 주민들이 '지상화' 혹은 '3.2km 박스 지하화'를 요구하는 청원을 내면서 논의가 원점으로 되돌아 간 상태다.
한윤조기자 cgdream@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홍준표, 정계은퇴 후 탈당까지…"정치 안한다, 내 역할 없어"
세 번째 대권 도전마저…홍준표 정계 은퇴 선언, 향후 행보는?
[매일문예광장] (詩) 그가 출장에서 돌아오는 날 / 박숙이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