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것만은 꼭!-어휘 관련 지식

어떤 단어를 알고 있다는 것은 그 단어의 의미를 아는 것에 국한되는 게 아니라, 단어와 관련된 다양한 지식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문맥에 따른 의미, 사용방법에 따른 차이, 문법적 변화 등을 두루 알아야 제대로 한 단어를 파악했다고 할 수 있다.

1. 어휘의 의미

한 단어가 어떤 의미로 사용되는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단어가 사용되는 맥락을 보아야 한다.

예를 들어 'school'은 학교, 수업, 학생 등 다양한 의미로 쓰인다.

'School begins at 8:30.'에서는 수업이란 의미로 쓰였고, 'School opens tomorrow.'에서는 학교란 의미로 쓰이고 있다.

어휘 학습을 할 때는 단어 간에 존재하는 의미 관계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animal'이라는 단어는 'dogs, lions, fowls' 등을 포괄하지만 'hen, cock, chicken' 등은 좀 더 구체적인 의미를 가진다.

이와 같이 하나의 어휘는 잠재적인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으며, 맥락 속에서 비로소 하나의 의미를 나타낸다.

2. 단어 사용

한 단어의 의미는 사용되는 방법에 따라 변할 수 있고 확장 혹은 제한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good'이라는 단어는 기본적으로 '좋은'이라는 뜻을 나타내지만, '얻어내는 재주가 좋은 사람'을 'a good beggar'로 나타내고, '한참 동안'을 'a good while'로 표현하기도 한다.

각 단어는 또 다른 단어와 자연스럽게 결합되는 방식을 갖고 있다.

'삐다'는 의미인 'sprain'의 경우 'sprained ankle(발목을 삐었다)', 'sprained wrist(손목을 삐었다)' 등의 표현은 사용해도 'sprained thigh(허벅다리를 삐었다)', 'sprained rib(늑골을 삐었다)' 등으로는 나타내지 않는다.

단어는 또 문체와 사용역(register)에 지배된다.

화가 났을 경우 공식적인 표현에서는 'I'm angry.'가 될 수 있고, 비공식적인 표현에서는 'I'm really pissed of.'라는 표현이 쓰일 수 있다.

3. 단어 형성

단어들은 문장에서 어떻게 사용되느냐에 따라 문법적 맥락에 맞게 형태가 변화한다.

'go'라는 단어는 'went'라는 과거형이 될 수 있고, 'going'이라는 현재분사형으로도 쓰인다.

또한 명사로 쓰여 '진행'으로 해석될 수 있고, '순조로운'이라는 형용사로도 활용된다.

record처럼 품사 변화에 따라 단어의 강세가 달라질 수도 있다.

김성문(대구시 교육청 장학관) 저 '초등영어 수준별 수업방법론'에서 발췌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