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당, 대구 대전 광주 R&D 특구 추진

정부가 놓친 내륙발전 보완책

한나라당의 대전을 포함, 대구와 광주를 'R&D 특구'로 만들려는 움직임은 지난 총선 당시 있어 왔다. 참여정부가 부산-인천-광양을 잇는 '경제자유구역' 벨트 구상에 맞서 내륙중심의 발전 방안을 내놓은 것이다.

한나라당 김형렬 정책위 전문위원은 18일 "인천, 부산, 광양을 경제자유구역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대구, 대전, 광주 등 내륙중심지역의 전략적 발전방안은 마련되지 못하고 있다"며 R&D 특구 추진배경을 설명했다. 빈혈에다 체질개선을 호소하는 내륙 도시를 'R&D 특구'로 지정하고 이중 대구 테크노폴리스, 대덕 벨리, 광주 첨단과학단지를 R&D 특구로 지정할 수 있는 근거 법률을 만들자는 것이다.

특히 대구와 광주의 R&D 특구 추진은 연구개발 자원이 수도권 및 대덕 연구단지로 집중,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의 과학기술 혁신능력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는 현실도 고려 대상이 됐다.

이한구(李漢久) 정책위의장은 지난 총선 당시 "정부가 추진중인 '종합연구개발특구법'에 대구를 포함시키도록 하거나, '대구테크노폴리스 건설 및 육성에 관한 특별법'을 제정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의장은 "연구개발 투자의 중앙 집중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대구와 광주에 'R&D 특구'를 만들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근혜(朴槿惠) 대표도 18일 "중부권(대전)과 동남권(대구), 서남권(광주)을 연결하면 균형적으로 과학기술을 발전시켜 침체된 지역 경제를 살릴 수 있다"며 3곳의 R&D 특구 추진에 기대감을 드러냈다.

그러나 포항이 R&D 특구를 추진하는 것에 대해선 곤혹스러워 하는 눈치가 역력하다. 내심 대구를 염두에 두고 R&D 특구법 제정을 구상했기 때문이다. 박 대표도 이 점을 의식, "대구.경북이 지역 경제를 살리는데 한마음이 돼야 한다"고 했다. 하지만 박 대표나 한나라당의 구상은 아무래도 대구 특구 쪽에 닿아있는 게 사실이다.

오히려 포항의 R&D 특구 추진은 여당 쪽에서 적극적이다. 열린우리당의 총선 공약에도 포함됐다. 당시 우리당은 총선 공약으로 포항 영일만 신항 개발과 포항을 과학기술 특화형 R&D 특구로 지정하겠다고 밝혔다.

따라서 9월 정기 국회에서 R&D 특구법 제정을 둘러싸고 상당한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대구.경북의 특구 유치 경쟁에다 정부 부처와 여야간 시각차도 크기 때문이다. 또 같은 이유에서 "두 마리 토끼를 모두 놓치지 않아야 한다"는 절박감도 적지 않다. 김태완기자 kimchi@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