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농촌 무단방치 차 '골치'

최근 경제불황으로 무단방치 차량이 크게 늘면서 지자체마다 골머리를 앓고 있다.

무단방치차량은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범죄장소로 활용될 가능성과 화재 위험성이 높기 때문.

청도군 청도읍 고수리 원정교 부근 공터에는 범퍼와 문짝이 찌그러진 소나타 승용차와 유리창이 깨진 0.5t 화물차가 잡초더미에 파묻혀 수개월째 방치돼 있다.

이밖에 폐교 운동장이나 마을회관 복숭아밭, 도경계 향나무숲 등 지역 곳곳에 버려진 차량들이 급증하고 있다.

강제처리에 나선 군은 올 들어 36대를 처리했지만 무단방치 차량은 날이 갈수록 늘어나 50여대에 이르고 있다.

방치차량 주변에는 각종 쓰레기와 깨진 유리조각들이 어지럽게 널려 있고, 내부에도 각종 오염물질로 가득해 보는 이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무단방치 차량은 자동차세나 각종 범칙금 과태료 등을 미납했기 때문에 자치단체나 경찰서로부터 압류된 것이 대부분이다.

때문에 강제처리에도 그만큼 어려움이 따른다.

차량 소유주와 압류한 이해 당사들에게 먼저 통보해 자진 처리를 유도하고 있지만 효과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때문에 군이 강제처리에 나선다해도 복잡한 처리 절차 때문에 두세달이 걸리고, 한 대당 처리비용도 10여만원씩 들어 적잖은 부담이 돼고 있다.

청도군청 김영태 교통행정담당은 "직원 한 명이 일년내내 이 일에만 전념해도 감당하기 힘들 정도이기 때문에 전담반을 편성해야 할 실정"이라며 "과태료 등 압류된 금액보다 차량을 버린 뒤 부과되는 과태료가 적기 때문에 무단방치 차량이 늘어나고 있는 만큼 처벌 규정을 대폭 강화해야 한다"고 했다.

청도.정창구기자 jungcg@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