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교원양성법안' 지역 학계 반응 엇갈려

교육부가 16일 △교직이수 학점을 현행 20학점에서 33학점으로 늘리고 △2010년까지 교원양성 기간을 연장하거나 전문대학원제를 도입한다고 발표하자 교육계의 반응이 갈리고 있다.

사립계 사범대와 교육대는 "학생들을 시험벌레로 몰아 우수 교원 양성과는 거리가 있고 교육부의 통제만 강화하는 법안"이라며 반발하는 반면 국립대인 경북대는 "교원자격을 강화해 경쟁력 있는 교원을 선발하고 대학의 구조조정을 촉진하는 계기가 된다"며 환영했다.

이상태 경북대 교육대학원장은 "교사양성을 엄격히 해 교사 자격증을 남발하는 것을 막아야 한다는 것은 줄곧 주장해 왔던 것으로 교육부의 법안을 환영한다"고 말했다.사립계 사범대와 교육대는 교원자격 요건을 강화하자는 취지에 공감하면서도 임용률에 따른 학과 폐지 기준이나 초등분야의 특수성을 무시한 내용을 담고 있다고 주장했다.

김혈조 영남대 사범대학장은 "다양한 경험과 교육인성을 강화해 경쟁력 있는 교원을 양성해야 하는데도 교직 학점을 강화해 전공과목 약화가 우려되고 학생들을 수험에 매달리게 하는 부작용이 예상된다"고 지적했다.

김 학장은 또 "인성과 적성 때문에 비사범계에서 교직으로, 사범계에서 다른 부문으로 전공을 바꾸고 싶을 경우를 원천봉쇄해 너무 가혹하다"고 평가했다. 다만 전문대학원제를 도입해 교원자격을 주는 것은 세계적인 추세라며 환영의 뜻을 나타냈다.

장이권 대구교육대 총장은 "법안 중에 초·중등 통합제의 경우 초등영역의 특수성을 무시한 것으로 크게 우려된다"며 "20%도 안되는 사범대 임용률을 볼 때 중등교원들이 초등분야로 대거 진출하면 복수영역을 가르쳐야 하는 초등분야의 경쟁력이 더 떨어지게 된다 "고 말했다.

이춘수기자 zapper@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