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임시국회 정상화 막판 진통 계속

여야는 20일 급박하게 움직였다.

당 수뇌부 모임과 의원총회를 잇따라 열어 쟁점인 4대 법안 처리문제를 논의했다.

열린우리당은 전권을 위임받은 대표와 원내대표가 참여하는 4자 회담을 한나라당에 제안했다.

◇열린우리당=이날 상임중앙위원회에서 천정배(千正培) 원내대표는 "여야 지도부가 만나 4대 입법과 관련한 가부결론을 맺자"며 한나라당에 4자 회담을 제안했다.

천 대표는 "각종 민생·개혁 법안을 올해 안에 처리하기 위해서는 늦어도 23일까지 법사위가 정상가동 돼야 한다"며 목소리를 높였다.

그러나 임시국회 정상화의 열쇠인 국가보안법에 대해 명확한 선을 그었다.

한나라당이 합의처리를 이유로 '연내처리 불가론'을 고수하는 데 대해 천 대표는 "결단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못을 박았다.

우리당은 야당이 4자 회담 제안을 거부하거나 끝내 임시국회 등원을 하지 않을 경우에 대비한 법안처리 일정을 마련했다.

오는 23일 본회의를 소집, 새해 예산안과 이라크파병연장 동의안을 처리하는 한편, 각 상임위에서 관련 민생·개혁법안을 처리한 뒤 28일 법사위 그리고 30일 본회의에서 일괄 처리키로 내부 계획을 세웠다.

또 야당이 법사위 점거를 계속하고 물리력을 동원, 상임위 저지에 나설 경우, 국회의장 직권으로 본회의에 의안을 상정, 처리하는 방안도 추진키로 하고 20일 김원기(金元基) 국회의장을 만나 이 같은 뜻을 전달한다.

◇한나라당=열린우리당이 이날 박근혜(朴槿惠) 대표의 4대입법 합의처리 제안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다고 일축한 데 대해 발끈했다.

박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상임운영위에서 "당초 예산안에 대한 대폭 삭감에서 불요불급한 혈세만 삭감하자고 양보한 것도 국회 정상화의 일환이었는데 여당 측이 계속 국회를 파행으로 이끌고 있다"며 여당 측에 비난의 화살을 돌렸다.

김덕룡(金德龍) 원내대표가 국가보안법과 언론관계법을 유보하고 사립학교법과 과거사 규명법은 연내 처리하자는 이른바 2+2방안을 여당 측에 제의했다는 언론보도에 대해서도 당내에서는 논란이 일고 있다.

과거사법은 연내처리를 합의해줄 수 있지만 사립학교법은 당초 방침대로 여야가 상임위에서 논의한 뒤 합의처리하는 방식이 돼야 한다는 것. 김 대표도 전날 법사위 회의장을 찾아 과거사기본법 등에 관해서는 합의처리가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하면서 "다만 여당 강경파들의 주장을 여당 지도부가 어떻게 조정하느냐가 문제의 관권"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주말과 휴일 연쇄회동을 가졌지만 한나라당은 기존 입장을 굽히지 않고 있다.

전여옥(田麗玉) 대변인은 "한나라당은 이 어려운 시국에 돌파구를 찾자는 뜻에서 열린우리당에 제안을 했다"면서 "이제 여야 합의정신 아래 열린우리당이 공을 넘길 차례"라고 말했다.

이상곤·김태완기자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