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30일 담뱃값 인상…애연가들 선택 엇갈려

담뱃값이 30일부터 500원씩 인상된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일부 애연가들은 은밀히 사재기에 나선 반면 일부는 이를 기회로

금연을 결심하는 등 애연가들의 선택이 엇갈리고 있다.

그러나 일각에선 흡연의 확산을 막겠다며 담뱃값을 올리는 데 대해 '가뜩이나

경제도 어려운데 유일한 낙인 담배마저 못 피우게 하느냐'며 못마땅한 표정이다.

24일 보건복지부와 유통업계 등에 따르면 최근 국민건강증진법 개정안이 국회에

서 통과돼 담뱃값에 부과되는 국민건강증진 부담금이 136% 인상됨에 따라 지방세와

교육세 인상분까지 합쳐 30일부터 담뱃값이 500원씩 일제히 오르게 됐다.

이에 따라 현재 1500원인 '디스'는 2천원으로, 2천원인 '레종'은 2천500원 등으

로 각각 오르게 된다.

◆ 당국 방지책 불구 일부 애연가 '사재기' = 편의점이나 소형 소매점에는 미리

담배를 사 두려는 사람들의 발길이 잦아졌다.

그러나 정부가 매점매석 방지를 위해 고시를 통해 담배업체들이 일선 소매점에

최근 3개월 판매량 평균치의 103% 이상은 공급할 수 없도록 판매량을 규제, 예년만

큼 사재기가 성행하지는 않는 모습이다.

KT&G 원성희 부장은 "일부 판매점에서는 '손님들이 물건을 요구하는데 왜 더 공

급해 주지 않느냐'는 원성도 있다"며 "하지만 올해는 담뱃값 인상 소문이 자주 돌았

던 탓에 특별히 요즘 들어 가수요가 많아지는 모습은 보이지 않는다"고 말했다.

한 편의점 관계자는 "일반 상품은 30% 가량 판매이익이 생기지만 담배는 10% 정

도에 불과해 점포 입장에서 그리 매력적인 상품은 아니다"며 "설령 사재기가 있다고

해도 고마진 상품을 대신해 담배를 더 들여놓을 점포는 많지 않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점포에서 사재기 현상이 있다는 얘기도 별로 들리지 않는다"고

말했다.

그러나 당국의 이 같은 사재기 방지책에도 불구하고 이미 상당량을 사재기해 '

비축'해둔 애연가들도 있었다.

12년째 담배를 피워온 애연가 이모(30)씨는 "담뱃값이 오른다는 얘기를 듣고 편

의점을 돌아다니며 1∼3보루씩 담배를 사 현재 30보루를 모아뒀다"며 "내년 이맘 때

까지는 거의 담배를 살 일이 없을 것 같다"고 흐뭇해했다.

그는 또 "일하면서 생기는 스트레스를 그나마 담배로 해소해왔는데 담뱃값이 올

라 오히려 골치가 더 아파졌다"며 불만을 나타냈다.

◆ "새해도 되는데..이 참에 금연" = 담뱃값 인상시기가 연말연시와 맞물려 있

어 일부 흡연자들의 경우 '새해엔 담배를 끊겠다'는 '신년 결심'을 하며 금연 분위

기가 확산되는 '효과'도 예상된다.

'체인스모커'인 회사원 최모(31)씨는 "내년 목표를 '금연'으로 정했는데 마침

담뱃값도 오른다고 하니 어려운 경제 여건에 조금이나마 지출을 줄이고 건강을 챙길

수 있을 것 같다"며 "이번 기회에 아예 담배를 끊을 생각"이라고 말했다.

다른 회사원 김모(33)씨는 "아내의 성화도 있고 가장으로서 가족들의 '웰빙 욕

구'에 부응하기 위해 새해부턴 담배를 끊기로 했다"며 "또 그동안 한달이면 6만원

가량을 담뱃값으로 지출했는데 가격도 인상되는 마당에 그 돈을 아껴 아이에게 장난

감이라도 선물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