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많은 돌탑 앞에 섰다. 크기도 높이도 다른 80여개의 돌탑들이 마이산 아래 탑사 골짜기를 빼곡하게 채웠다. 외줄탑과 원뿔탑 등 생김새도, 쌓아올린 양식도 제각각. 탑사로 들어서는 순간 터진 탄성의 여운이 채 가시기도 전이지만 놀라움은 좀처럼 사그라지지 않는다.
이 중에서 대웅전 뒤의 부부탑인 천지탑(天地塔)이 일품이다. 오행을 뜻하는 다섯 개 탑의 호위까지 받는 위엄이 있다. 제일 위쪽에서 아래의 모든 탑들을 호령한다. 다듬지 않은 돌을 하나하나 원형으로 쌓아올라가다가 중간에 합쳐졌다. 틈새하나 없이 짜맞춰 정교하고 완벽하다. 반면 대웅전 앞쪽의 돌탑들은 외줄로 하늘을 찌를 듯 서있다. 자연석을 생긴 모양 그대로 차곡차곡 쌓아올렸을 뿐. 언뜻 보면 한줄기 바람에도 금방 무너져내릴 것만 같다. 하지만 100여년동안 그 어떤 강풍에도 견뎌왔다. 흔들릴지언정 무너지지는 않는 신비의 돌탑이다. 돌탑을 쌓으면서 수많은 신비와 전설, 역사를 담았기 때문이리라. 자연이 만든 걸작이 마이산이라면 이 돌탑들은 인간이 만든 걸작품이다.
탑사를 한바퀴 돌고 나면 놀라움은 의문으로 바뀐다. 누가 왜 이 많은 돌탑들을 세웠을까. 이 탑들은 전북 임실 태생의 이갑룡 처사가 1900년대 초에 쌓은 것으로 전해진다. 나라를 위해 마이산으로 모인 기운을 다스리려고 탑을 세웠다는 이야기도 있다.
탑사 왼쪽의 암마이봉 절벽도 신비감을 더해주는 볼거리다. 폭격을 맞은 듯 움푹 팬 자국들이 선명하다. 능소화 한 그루가 이 절벽을 기어오른다. 모진 비바람에도 꺾이지않는 능소화는 돌탑의 신비를 그대로 닮았다.
글·박운석기자 stoneax@imaeil.com
사진·박노익기자 noik@imaeil.com
※매일신문 홈페이지(www.imaeil.com) 기자클럽 '박운석의 콕찍어 떠나기'를 클릭하시면 '마이산, 신비를 찾는 여행'에 관한 좀더 상세한 내용을 보실 수 있습니다.
사진: 대웅전을 중심으로 수많은 돌탑들이 도열하고 있는 마이산 탑사.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