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나라 아동인구(0∼19)가 최근 10년 새 11.6%포인트 감소했으며 우리 나라 가구의 58, 59%는 현재 평균인원 약 3.5명의 핵가족( 부+모+자)으로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큰 변화가 없었지만 중·고교에서는 현저한 감소세를 보였으며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은 늘어나 신고건수가 크게 증가한 것으로 조사됐다.
10일 한국아동단체협의회가 1990∼2004년 사이 우리 나라 아동 관련 통계자료를 종합해 엮은 '통계로 본 한국 아동 상황 2004'에 따르면 아동인구(0∼19세)는 1995년(1천443만3천776명)을 100으로 했을 때 계속 감소세를 보여 2004년(1천276만1천66 4명) 11.6%포인트 감소했다.
또 출생시 성비는 1993~2002년 사이 여아 100명당 남아115명에서 110명으로 좁혀졌다.
가구형태는 우리 나라 가구의 58, 59%가 현재 평균인원 약 3.5명으로 구성된 핵가족(부+모+자)으로 살고 있었다.
교원 1인당 학생 수는 1995~2003년 사이 초등학교 수준에서는 27∼29명 폭의 수평 추세가 유지된 반면, 중·고교에서는 각각 25명에서 19명, 22명에서 15명으로 현저한 감소세를 보였다
아동학대에 대한 관심이 높아져 아동학대 신고건수는 2001~2003년 사이 3천910건에서 4천983건으로 증가했고, 신고자수도 1천996명에서 3천536명으로 177%나 증가했다.
협의회가 자체 조사한 '부모의 실직과 자녀양육에 관한 조사'에서는 경제적 어려움이 자녀의 양육비(27.1%)와 교육비(40.7%)를 어쩔 수 없이 줄이게 만들고 출산계획마저 미루게(7.2%) 만든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 쉼터 재소 아동 150명을 대상으로 한 가출의 실태 결과에서는 부모의 이해부족, 가정불화, 아버지의 폭력 행사 등이 구체적인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부모의 경제활동도 한 원인으로 나타났다.
상황에 따라 가출할 수도 있다는 생각(28.3%)과 가출은 좋은 행동은 아니지만,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최후의 수단이거나 불가피한 선택으로 생각' 등은 78.4%로 가출에 대한 부정적 의견(19.3%)보다 월등히 높았다.
그러나 '아동·청소년의 가출방지 및 복학을 위한 학교의 역할' 조사에서는 징계결정 전에 학생에게 진술의 기회를 제공한다는 중·고교가 각각 56.5%와 54.2%로 절반 정도에 그쳐 학칙에 명시되어 있는 징계 절차를 제대로 지키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합)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