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독도·역사왜곡 "참을 만큼 참았다"

對日강경대응 한데 뭉친 與野

일본의 독도 영유권 야욕이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정치권이 강력 대응을 촉구하는 한편 자구책 마련에도 적극 나서고 있다.

일부에서는 실효성 없는 단발성 행사로 끝내지 말자는 자성론도 나왔다.

△대응 강화

열린우리당 정세균 원내대표와 한나라당 강재섭 원내대표는 15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과 역사교과서 왜곡 문제 등에 대처하기 위해 국회 내 특위 구성에 합의했다.

양당은 또 외교문제와 관련한 전방위적 대응책 마련을 주장하는 한편 국회 고구려사 특위를 독도 관련 특위로 발전시키는 방안도 고려하고 있다.

국회의원들의 독도 방문도 잇따라 열린우리당 강창일, 한나라당 고진화, 민주노동당 이영순 의원 등 여야 의원 5명이 일본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의 날' 조례안에 항의하기 위해 17일 독도를 찾아 태극기를 게양하고 성명서를 채택기로 했다.

민주노동당 지도부도 오는 21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항의하고 독도수비대원들을 격려하기 위해 독도를 방문한다.

△자성론

정치권 일각에서는 자성론도 일고 있다.

이 같은 움직임이 시류에만 편승해 또다시 유야무야될 수도 있다는 우려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 16대까지 있었던 독도지키기 관련 의원모임은 독도지키기연구회와 독도사랑모임 등 2개였지만 17대 들어서는 한 개도 등록되지 않았다.

두 모임은 8·15 행사를 위해 매년 독도를 방문했으나 지난해부터는 이 같은 행사도 사라졌다.

한 관계자는 "이미 있던 모임도 유지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새로 특위를 구성하자는 것은 냄비 현상 아니냐"며 "이번만큼은 한국의 주권을 걸고 끈기있게 풀어가자"고 했다.

박상전기자 mikypark@imaeil.com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