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16일 일본의 독도영유권 주장과 역
사교과서 왜곡에 대해 강력히 대처한다는 방침을 재천명하고 당과 국회, 국회내 의
원모임 차원에서 다각도의 대응에 들어갔다.
특히 정부가 그간 한일간 미래우호관계를 위해 직접적 대응을 삼가왔던 '조용한
외교'에서 벗어나 분명한 대응 기조로 밝힐 것으로 알려지자 집권여당으로서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일본 집권세력의 '음모론'을 거론하는 등 공세발언 수위를 높였다.
나아가 일본 시마네(島根)현 의회의 '다케시마(독도)의 날' 제정 조례안을 주권
침해 행위로 규정, 강력히 성토하면서 정면 대응에 나섰다.
임채정(林采正) 의장은 오전 영등포 당사에서 열린 확대간부회의에서 '다케시마
의 날' 제정 조례안에 대해 "우리민족에 대한 폭력행위이자 주권침해"라며 "더 이상
물러설 수 없다"고 배수진을 쳤다.
임 의장은 이어 일본의 이들 행태를 집권세력의 '시나리오'에 따른 음모론 시각
과 연결지은 뒤 "음모론 의심을 충분히 뒷받침해주는 정황도 많다"고 말하고 일본의
과거사 고백과 사과 및 이를 통한 미래지향적 양국관계 발전을 기대했다.
정세균(丁世均) 원내대표는 ▲정당.의원외교를 통한 중국 등 주변국가들과의 대
일(對日) 협력대응 ▲남북 공동대처 ▲과거사법 처리를 강조했다.
정 원내대표는 특히 "과거사법도 처리하지 못한다면 일본이 우리를 얕잡아 볼
것"이라며 한일문제 대응을 계기로 과거사법이 처리돼야 한다는 입장을 강조했다.
'과거사 청산 의원모임' 회장인 강창일(姜昌一) 의원은 오후 여야 의원들의 국
회 본관앞 항의시위 계획을 알리면서 "일본은 올들어 노골적으로 독도를 분쟁지역화
하려 하고있다"면서 "이는 우경화 정치인들이 뭉쳐서 빚어낸 필연적 결과로, 독도가
우리땅이라는 것을 전세계에 알려야 한다"고 강조했다.
강 의원은 이어 일본 군국주의 부활 흐름에 제동을 걸고 국제적 압력을 가하기
위해 과거 일본침략에 피해를 입은 중국, 인도네시아, 필리핀, 미얀마 의원 등과 함
께 '아시아 평화연대'를 구성키로 하고 정부에 대해서도 "참여정부답게 단호하고 분
명하게 '제대로'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외교통인 정의용(鄭義溶) 의원은 "그동안 독도는 우리가 실효적으로 지배해왔기
때문에 가급적 대응을 피해 왔지만 일본이 저렇게 나온다면 우리가 기회가 있을 때
마다 강하고 집요하게 대응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정 의원은 그러나 "당 보다는 국회 차원에서 초당적으로 대처하는게 바람직하다
"면서 "일본도 국제위상을 높이려면 우리의 지원없이는 어렵다는 점을 알기 때문에
경우없이 계속 자기들의 주장만을 하기는 어려운 측면이 있으니 일본내 양심세력들
의 움직임에 기대를 걸어볼 수 있다"고 말했다.
정봉주(鄭鳳株) 의원은 "단교까지도 염두에 둔 모든 조치를 취해야 하고 독도
해병대 주둔까지도 신중히 검토해야 한다"고 고강도 주장을 하기도 했다.
'올바른 역사교육 의원모임' 회장인 김태홍(金泰弘) 의원은 오후 2시 대일 규탄
기자회견과 성명 발표, 17일 여야의원 5명의 독도방문 계획을 소개하고 "일본사람들
은 구석기 유물도 조작했던 만큼 현대사는 100번도 조작할 수 있다"고 주위를 환기
시키기도 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