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기 푸른 하늘 안쪽 어딘가 많이 곪았
는지 흰 고름이 동그랗게 하늘 한구석에
몽우리가 진다 나무 위의 새 한 마리 집에
가지 못하고 밤새도록 부리로 콕 콕 쪼고
있다 밤새 쪼다가 미쳤는지 저기 푸른 하
늘 많이 곪은 안쪽으로 아예 들어간다
-'밤새 나뭇가지 끝에 앉았던 새 한 마리
새벽 하늘로 날아갔다' 오규원-
시보다 제목이 긴 시다.
긴 제목 속에 시인의 고뇌의 흔적이 있다.
많이 곪아있다.
역사와 시대와 환경에 의해 부여된 의미들로 때묻고 혼란해진 말과 함께 아픈 시인은, 이제 새로운 말하기인 치유의 방법으로 아예, 화농된 그 병의 깊은 속으로 들어가는, 들어가 관념이 없이 하나로 만나고 싶어한다.
거기에서 오규원이 말하는 '날이미지'시가 탄생하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제 한결 자유로워져서 새로 두 줄의, 본문인 시가 탄생한다.
이 시대의 아픈 소리 내는 시인은 보이지 않고, 그대로의 살아있는 사물의 모습만 명쾌하게 보인다.
그러다 보면 시인의 병도 낫고, 독자들의 정신건강에도 좋겠다.
박정남(시인)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