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광수 검찰총장이 내달 2일 퇴임을 앞두고 가진 사실상의 고별 기자회견(21일)에서 대선 자금 수사 때 송 총장 자신이 직접, 또는 수사팀이 지휘 라인으로부터 여러 형태의 외압을 받았다는 발언은 파장이 클 소지를 다분히 내포하고 있다. 물론 "그 외압이 수사엔 영향을 주지 않았다"고 부인했지만, 이 발언은 참여 정부 초기에도 역시 검찰에 대한 압력이 있었음을 방증하면서 과연 '대선(大選) 수사'가 공정하게 이뤄졌을까 하는 의구심을 갖게 하는 대목이기도 하다.
앞으로 이 발언에 대한 야당이나 여론의 향배가 어떨지는 좀 더 지켜봐야 할 '미묘한 사안'이 아닐까 싶다. 대선 자금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송 총장은 노무현 대통령의 입장에 대해 "검찰 나름대로의 의견을 갖고 있지만 헌법상 소추권이 없어 실효성도 없는 만큼 언급을 않겠다"고 했다. 이 내용도 '살아 있는 권력'에 대한 한계성을 검찰이 표출한 것이기도 하지만, 검찰이 감히 넘볼 수 없는 '성역'에 접근했다는, 상충된 의미를 내포하고 있다. 대선 자금 수사가 야당에도 가혹했지만 여권도 그에 버금갈 만큼 압박했다는 방증이다. 이는 송 총장이 늘 강조했던 '외풍 차단'에 그 직위를 걸고 혼신했다는 의미에 다름아니다.
만약 검찰의 대선 수사가 외압에 의해 휘둘렸다면 그 후유증은 검찰 불신을 떠나 정권 차원으로 비화될 수 있음을 웅변하고 있다. 이는 검찰의 독립성 보장이 오히려 정권의 신뢰성까지 제고시킨다는 해석을 낳게 하는 대목이다.
이런 맥락에서 차기 검찰총장 인선에서도 코드에 맞출 게 아니라 검찰의 독립성 신장에 기여할 인물에 초점을 맞춰야 함을 송 총장은 당부하고 있다. 그 전제는 '정치 검사'의 축출 등 검찰 내부 정화에 있음도 강조하고 있다. 깊이 새길 회견 내용이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