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하이오 고자이마스(안녕하세요)? 교와 하다자무이 데스네(오늘은 날씨가 쌀쌀하군요)"
대구 남구 대명1동 주민자치센터에서 일본어 무료 자원봉사를 하고 있는 오카베 야요이(44·여)씨. 한국인 남편과 결혼, 17년째 칠순의 시부모를 모시며 한국 며느리가 된 그녀. 낯설고 물설은 한국 생활에서 이웃과 친해보려는 순수한 마음에서 시작한 것이 일본어 자원봉사였다.
"일본어 자원봉사를 통해 한·일간 역사의 벽을 허물어보고 싶었다"는 그녀는 "이제는 한국과 한국인을 더 많이 이해하게 됐다"고 말했다. 최근 일본의 독도 영유권 주장에 대해 그녀는 "시마네현에서만 독도를 '다케시마'라고 부를 뿐 타 지역에서는 들은 적이 없다"며 "독도는 역사적으로나 지리적으로 당연히 한국 땅"이라고 잘라 말했다.
그녀가 대명1동 '일본어 동아리' 회원들과 인연을 맺은 지 3년째. 대부분 40, 50대 주부들인 '일본어 동아리' 회원들과 그녀는 스승과 제자 사이가 아닌 한 가족이다. 수업도 학교처럼 획일적이지 않다. '만남' '친구여' 등 친숙한 한국노래를 일어로 따라 부르고, 가족같이 이야기하며 자연스런 분위기에서 공부하고 있다.
동아리 회장인 조순환(54·여)씨는 "회원들 모두 일본어를 공부하는 금요일이 기다려진다"며 "공휴일이나 선생님이 일본 친정으로 여름 휴가를 떠나면 섭섭한 마음 금할 길 없다"고 귀띔했다. 허정애(57·여) 회원은 "일본어 기초를 배운 지 엊그제 같은데 이제 중급수준이 됐다"며 "지난해 일본문화체험때 배운 것을 말할 수 있어 자부심을 느꼈다"고 말했다. 오카베씨는 "자원봉사를 막상 시작하긴 했으나 회원들이 지속적으로 다닐까 걱정했는데 3년 간 꾸준히 동참해 줘 고마울 따름"이라고 털어놨다. 한편 동아리회원들은 지난해 3박4일 일정으로 일본현지문화체험행사를 가지는 등 일본을 앎으로써 일본을 이겨보자는 노력을 하고 있다.
전수영기자poi2@imaeil.com
사진 : 매주 금요일 대명1동 주민자치센터내 '일본어 동아리' 회원들에게 3년째 일본어 무료 자원봉사 활동을 하고 있는 오카베씨(맨 왼쪽).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