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인터넷에 범람하고 있는 '음란물'퇴치 전쟁을 선포하고 나섰다. 국내 유명 3대 포털 사이트 성인물 운영자를 비롯, 38명을 불구속 기소하고 100여 명에 대한 수사도 각 지청별로 벌이도록 한 후 4월 중순까지 수사 결과를 발표하면서 음란물 차단 종합 제도 개선책을 건의하기로 했다고 한다.
일단 검찰의 음란물 엄단 방침은 시의적절한 조치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어야 할 것이다. 검찰이 이런 초강수를 들고 나온 건 인터넷의 음란물 유포 현상이 그 도(度)를 한참 넘었고, 이 폐해는 청소년 등에 미쳐 강제 성추행 등 성범죄가 10년 전에 비해 90%나 급증한 데 따른 것이다. 문제는 검'경의 일제 단속으로 음란물 유포 현상이 과연 줄어들겠느냐 하는 데 있다. 또 미성년자들이 볼 수 없도록 법적인 장치도 마련돼 있고 영상물등급위원회가 음란물 여부를 따져 미성년 관람을 원천 봉쇄하는 제도도 있다. 그런데도 스와핑 등 퇴폐 사이트까지 왜 기승을 부리는가 하는 데 근원적인 문제가 있다. 우선 현 검'경의 사이버 범죄 단속 인력이 턱없이 부족해 사실상 음란물 범람 현상이 방치되다시피 하는 '단속 현실'을 개선하지 않는 한 백년하청(百年河淸)이다. 더욱이 초'중'고교생 90% 이상이 부모의 주민등록번호로 음란물을 보고 있는 '현상'에 대한 '묘책'이 없는 한 단속도 무의미하다.
게다가 영상물등급위원회는 '성인용'으로 허가했는데 대법원은 판례를 통해 음란물로 인정되는 경우 유죄로 보고 있다. '법과 제도'의 충돌까지 빚어지는 이 같은 상황에선 오히려 혼란만 가중될 뿐이다. 검찰의 제도 개선 대책 내용도 기대되지만 근원적인 해결책은 윤리 의식 제고 등 '인터넷 문화'개혁에 있고, 그 실천의 기초단위인 '가정'에서 어떻게 하느냐에 달렸다.
댓글 많은 뉴스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