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가족 간병인 중 절반 가량이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고 저축했던 돈을 모두 병간호에 쏟아 부으면서 극심한 경제난에 시달리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립암센터 윤영호 삶의질향상 연구과장은 지난 2003년 6~12월 국내 5개 호스피스완화의료관에서 말기 암환자를 돌보던 가족 간병인 187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간병 때문에 직장을 그만두거나 생활에 커다란 변화가 있었다'는 응답자가 50%에달했다고 31일 밝혔다. 전체의 71.1%는 '간병 중 도움이 필요했다'고 답했으며 '간병 중 다른 가족이아프거나 정상적인 가족생활이 어려웠다'는 응답도 27%나 됐다.
또 ▲저축금의 전부 혹은 대부분 사용(54%) ▲가족의 주요 수입원 상실(34%) ▲더 싼 집으로 이사(18%) ▲다른 가족의 중요한 치료를 미룸(12%) ▲가족의 교육 계획을 미룸(13%) 등의 응답도 많았다.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데 드는 비용은 환자와 가족의 가정형편이나 질병의 종류, 간병장소 등에 따라 큰 차이를 보였다. 환자를 의료기관에서 돌보는 경우에는 평상시(환자가 없는 경우)의 2.7배, 환자가 간암일 때는 3.6배, 가족의 경제력이 낮을 때는 2.97배, 주(主)간병인이 배우자인 경우는 3.9배 가량 저축액의 상실이 더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간암환자를 돌보는 데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것은 간암환자의 70~80% 가량이 만성간염이나 간경화 등으로 투병생활을 하다가 간암으로 진행되면서 전체적인 치료기간이 길어지기 때문으로 의료진은 분석했다. 이밖에 말기 암환자를 돌보는 데 드는 비용은 '중년기'나 '노년기'보다 '가족형성기'인 경우에 3.57배 가량 더 들었으며 '출산기 또는 학령기'인 경우에는 8.3배, '청소년기 또는 출가 전'인 경우는 10.6배 등으로 가족의 저축액 상실이 큰 것으로나타났다.
이번 연구결과는 가정의학회지 최근호에 실렸다. 윤영호 박사는 "말기 암환자를 간병하는 데 드는 고비용 등의 사회경제적 영향은 그 자체 뿐만 아니라 불필요한 입원이나 안락사, 자살 등과 같은 사회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면서 "말기 암환자 가족의 간병에 따른 부담을 줄이기 위한 국가적인보건복지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나경원 "GPU 26만장이 李정부 성과? 성과위조·도둑질"
'세계 최고 IQ 276' 김영훈 "한국 정부는 친북…미국 망명 신청"
추미애 "국감 때 안구 실핏줄 터져 안과행, 고성·고함에 귀까지 먹먹해져 이비인후과행"
친여 유튜브 출연한 법제처장 "李대통령, 대장동 일당 만난 적도 없어"
장동혁 "오늘 '李재판' 시작해야…사법부 영혼 팔아넘기게 될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