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제조업체들은 1천원어치의 물건을 팔아 78원을 남긴 것으로 나타났다.
수출을 위주로 한 대기업을 중심으로 이익률이 크게 높아졌으나 향후 경기에 대한 불확실성으로 인해 설비투자를 극도로 꺼리면서 기업들의 현금보유액이 사상 최대 규모인 66조원에 달했다.
또 이처럼 넘쳐나는 이윤을 투자에 쓰지 않고 현금으로 보유하면서 제조업체들의 부채비율은 미국, 일본의 기업들보다 훨씬 낮은 100%대를 나타내 40여년만엔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한국은행이 16일 발표한 '2004년 기업경영분석 결과'에 따르면 2004년중 제조업의 매출액경상이익률은 7.8%로 전년(4.7%)에 비해 3.1%포인트 상승했다.
이는 수출호조 등으로 매출액영업이익률이 개선(6.9%→7.6%)된데다 영업외수지가 금리하락 및 차입금 감소 등으로 매출액 대비 -2.2%에서 0.2%로 개선된 데 따른 것이라고 한은은 설명했다.
대기업의 매출액경상이익률은 6.0%에서 10.2%로 4.2%포인트 늘었지만 중소기업은 2.5%에서 3.3%로 0.8%포인트만 늘어났다.
수출비중이 50% 이상인 기업은 4.9%에서 9.3%로 4.4%포인트, 20~50% 기업은 4.5%에서 8.9%로 역시 4.4%포인트 증가했으나 20%미만 기업은 4.6%에서 0.1%포인트 늘어난 4.7%에 그쳐 양극화 현상을 드러냈다.
제조업의 부채비율은 104.2%로 전년말(123.4%)에 비해 19.2%포인트 낮아졌다.
제조업의 부채비율은 1965년(93.7%)이래 가장 낮은 수준으로, 작년 3월말 현재 일본 제조업체의 부채비율 145.4%, 미국의 작년말 141.2%보다 훨씬 낮아진 것이다.
제조업의 경우 기계.설비를 비롯한 유형자산의 전년대비 증가율은 1.7%에서 4.8%로 높아졌으나, 투자가 활발하지 못해 총자산에서 유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1년 45.2%를 기록한 뒤 2002년 43.2%, 2003년 41.6%, 2004년 40.6%로 3년 연속 하락세를 보였다.
이에 따라 1999년말 5.3%에서 지속적으로 상승해온 제조업의 현금보유비중(현금/총자산)은 전년말 9.7%(60조원)에서 9.9%(66조원)으로 늘어났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작년 한해동안 기업들이 내실을 다진 덕분에 사상 유례없는 높은 수익률을 기록해 미국과 일본 이상으로 재무구조를 개선했다"며 "다만 수출기업의 매출성과는 좋으나 내수기업 및 중소기업의 성과가 미진한데다 기업의 투자도 미미해 문제"라고 말했다.(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