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과 조지 W 부시 대통령이 오늘 새벽 한'미 정상회담을 가졌다. 두 정상은 북핵의 평화적 해결 원칙에 의견을 같이했고, 양국의 확고한 동맹 관계도 재확인했다. 정부 고위관계자도"한'미동맹이 공고하고 건강하게 발전하고 있다는 점을 재확인해 일부에서 제기되는 우려를 불식시키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따라서 이 같은 양국의 동맹 관계를 토대로 도출된 합의를 앞으로 지속적으로 어떻게 실천하느냐가 매우 중요하다.
양국 정상의 만남은 이번이 벌써 네 번째다. 그럴때마다 두 정상은 원칙적으로는 이번과 같은 합의에 의견을 같이했다. 그러나 실천에서는 양국 모두 매끄럽지 못했다. 특히 북핵 문제에 있어서는 그 해결 방안에 우려의 소리가 나올 정도로 현저한 시각차를 드러내기도 했다. 따라서 양국의 신뢰가 흔들릴 수밖에 없었고, 정책 조율에서도 이견이 노출돼 국민들 사이에 적잖은 혼선이 빚어지기도 했다.
오죽하면 이번 회담에서 노 대통령이"한'미 동맹 관계가 잘돼 가고 있다고 해도 괜찮으냐"고 물었는데 부시 대통령이"동맹이 매우 강하다"고 대답했을까. 이것이 비록 우문우답(愚問愚答)이나 현문현답(賢問賢答)일지언정 지금부터라도 두 나라는 신뢰를 바탕으로 그간의 소원했던 관계를 풀어야 한다.
이번 회담을 계기로'동북아 균형자론''주한미군의 전략적 유연성''작계(作計) 5029'등에서 나타난 혼선들이 말끔히 정리돼야 한다. 비록 의견 차이가 있기는 하지만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해 거론했다는 그 자체도 매우 뜻깊은 일이다. 여전히 북한은 "핵무기를 추가로 제조하고 있다"며 큰소리치는 마당에 이번 정상회담으로 양국은 더 공고한 동맹을 실천해야 한다. 그래야만 북한 또한 6자회담 복귀를 선택할 수밖에 없을 것이다.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