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시민프로축구단 대구FC의 2005년 시즌 홈 경기 연간입장권이 3억6천300만 원 어치 판매됐다.
대구시와 대구FC가 지난 2월 14일부터 지난달 말까지 시·구·군 공무원들과 시 관련단체, 기업체, 축구팬 등을 대상으로 연간입장권을 판매한 결과 일반권 4천954권, 학생권 568권 등 5천522권(1권에 20장), 총 11만440장의 입장권이 팔렸다.
이는 지난해 판매액 8억3천600만 원 어치에 비해 크게 저조한 금액이지만 대구시가 공무원을 동원한 강매를 하지 않고 자율판매를 했다는 점에서 그런 대로 만족할만한 성과로 평가받고 있다.
이번 연간입장권 판매 행사에 가장 적극적으로 협조한 곳은 시 관련 단체들로 23개 단체가 1억5천770만 원 어치를 구입했다. 대구시와 함께 축구단 창단을 주도한 대구상공회의소는 가장 많은 300권(2천100만 원), 시금고인 우리은행은 200권(1천400만 원), 시체육회는 180권(1천260만 원), 대구시치과의사회는 150권(1천50만 원), 로터리클럽은 143권(1천10만 원), 대구시약사회는 110권(770만 원)을 각각 구입했다.
또 시·구·군의 5급 이상 공무원들은 655권(4천588만 원)을 구입, 대구FC가 자립 기반을 닦는 데 힘을 보탰다. 대구지하철공사는 167권(1천169만 원), 대구시시설관리공단은 120권(840만 원), KT대구본부는 100권(700만 원)을 구입하는 정성을 보였다.
하지만 지역 기업들은 연간입장권 판매에 차가운 반응을 보였다. 대구시는 대구FC 창단에 앞장 선 발기인이 운영하는 기업 등 61개 기업체에 연간입장권을 배부, 도움을 호소했으나 20개 업체만이 동참했다. 판매금액도 5천915만 원 어치(845권)에 불과했다. 기업체 가운데는 (주)태왕이 가장 많은 200권(1천400만 원)을 구입했고 동아백화점과 (주)금복주, 삼익LMS가 각각 100권(700만 원)을 구입, 그 뒤를 이었다.
한편 1승1무4패(승점 4)로 11위에 머무르고 있는 대구FC는 18일 오후 7시 인천문학월드컵경기장에서 5승1무(승점 16점)로 선두를 질주하고 있는 '돌풍의 팀' 인천 유나이티드와 삼성하우젠 K-리그 전반기 7차전을 갖는다. 김교성기자 kgs@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김진태 발언 통제한 李대통령…국힘 "내편 얘기만 듣는 오만·독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