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가 수급불안 우려로 사상 최초 배럴당 60달러를 돌파하자 공단마다 비상이 걸렸다.
△화섬업계
고유가에 직접적 타격을 받는 화섬업계는 벤젠 등 석유화학제품의 수급 밸런스를 주시하며 원자재 구매선 다양화와 에너지 절감 시스템 도입에 치중하고 있다.
㈜코오롱은 에너지 절감을 위해 상반기 중 24억 원을 들여 구미공장에 '수축열 시스템'을 도입기로 했다. 수축열 시스템은 낮은 가격의 심야 전력을 이용, 원사의 열을 식히는 냉수를 만들어 저장해 놓았다가 낮 시간대에 사용하는 에너지절감 시스템.
(주)효성은 구매선 다변화를 통한 원가절감책에 돌입했다. 화섬원료 가격동향에 따라 구매물량과 시기를 조정하는 방안을 구사할 방침이다.
△전자업계
삼성, LG, 대우일렉트로닉스 등 전자업계는 채산성 악화에 대비해 각 사업장별로 에너지 절약을 통한 고유가 충격 극복에 나섰다. 삼성전자는 주력 수출품인 휴대전화를 항공운송에서 비용이 싼 선박으로 일부 돌리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LG전자는 유가가 10달러 인상시 원재료 가격이 4, 5% 올라 완제품 원가에 1, 2% 정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 원자재 등 부품의 전사적 일괄 구매 및 리스크별 시나리오 경영을 펴고 있다.
△철강업계
포스코는 전기와 액화천연가스(LNG), 유연탄 등 에너지 사용량 감축에 돌입했다. 이에 따라 현재 조강생산량 1t당 에너지 사용량을 520만kcal에서 오는 2006년까지 400만kcal로 낮추는 에너지관리 계획을 수립했다. 포스코는 제철소 내 부생가스를 이용한 발전소의 발전용량을 최대한 늘리고 건식소화설비(CDQ)를 통한 에너지 재활용에 나선다는 방침이다. 전기를 사용하는 현대INI스틸 역시 공장별로 태스크포스팀을 구성, 에너지절감에 전사적 노력을 쏟고 있다.
구미'김성우기자 swkim@imaeil.com 포항'이상원기자 seagull@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김민웅 "北, 세계정세의 게임 체인저"…주진우 "金, 보수 살릴 게임 체인저"
이진숙 "머리 감을 시간도 없다던 최민희…헤어스타일리스트 뺨칠 실력"
장예찬 "강유정 포르쉐가 장동혁 시골집보다 비쌀 것"
한미 관세 협상 타결…현금 2천억+마스가 1500억달러
"이재명의 승리" "역사적 업적"…관세협상 타결에 與 칭찬세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