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누울 자리부터 고르고 발 뻗어라

조해녕 대구시장을 이해하기 어렵다. 달성군에 집착하는 정도가 유별나서다. 조 시장은 대구경북과학기술연구원(DGIST) 입지를 달성군으로 정한 데 이어 대구 이전 예정 공공기관까지 모조리 달성군으로 몰아넣으려고 안달하는 느낌이다.

달성군에 테크노폴리스를 조성해 혁신도시로 건설하겠다는 대구시의 입장을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다. 그렇다 해도 타당성을 검토하지 않고 무리하게 관(官) 주도로 일을 추진하면 탈이 날 수 있다. 대표적 사례가 대구지하철 사업이다. 대구시민이면 누구나 지하철은 1호선보다 당연히 2호선이 먼저 건설됐어야 했다고 말한다. 2호선이 대구의 주 간선도로인 대동'대서로를 따라 건설돼 있기 때문이다.

지하철 2호선보다 1호선이 먼저 건설된 것은 당시 국회의장 선거구인 동구를 배려한 때문이란 것은 주지의 사실이다. 대구시의 달성군 편애(偏愛)도 정치적 고려 때문이란 설이 파다하다.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지역구가 달성군이다. 이로 인해 달성군의 땅값도 오를 만큼 올랐다. 테크노폴리스 조성이든, 혁신도시 건설이든, 이는 고스란히 대구시민의 부담 증가로 이어진다. 그럼에도 대구경북연구원을 비롯한 대구 지역 연구기관들은 어느 누구도 대구시의 계획에 제동을 걸지 않고 있다.

달성군 못잖게 대구 동구 지역 특히, 안심 일대도 낙후지역이다. 대구선 이설 계획에 따라 일부 지역이 택지로 개발되고 있으나 항공기 소음 피해 지역이어서 양질의 택지도 아니다. 대구 이전 예정 공공기관들과 직원들의 이전 희망지는 동구(회사)와 수성구(주거지)로 나타났다. 정주 여건과 교통 등 근접성에서 뛰어나기 때문이다. 정부도 혁신도시의 입지로 낙후성이 아닌 근접성을 최우선으로 고려한다고 했다. 달성군은 과연 모든 기관이 누울 자리일까.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