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3년 7월 29일 우리나라의 인구는 4천만 명을 넘어섰다. 폭발적인 인구 증가가 조국 근대화의 걸림돌이 된다며 1962년 시작한 가족계획도 어쩔 수가 없었다.
일제시대에 처음 조사됐을 때 우리나라의 인구는 1천900만 명이었다. 그 이후 전쟁으로 인해 잠시 감소현상을 보였을 뿐, 한국의 인구는 꾸준히 증가(1960년 2천450만, 1970년 3천200만, 1980년 3천800만, 1990년 4천200만, 2000년 4천600만, 현재 4천800만 명)해 왔다.
그에 맞춰서 가족계획 표어·포스터도 그 내용을 달리 했다. 1960년대 '3·3·35 운동', 1970년대 '딸·아들 구별말고 둘만낳아 잘기르자', 1980년대 '둘도 많다', 1990년대 '아들바람 부모세대 짝꿍없는 우리세대'….
그러나 2000년대 들어 저출산 현상이 급격하게 나타나자 그 양상이 달라지고 있다. 오히려 자녀낳기를 독려하고 있는 것. '한 자녀보다는 둘, 둘보단 셋이 더 행복합니다'는 이를 잘 나타내주는 표어다.
한 주간지 기자가 "계획 없는 가족계획의 후유증"이라고 표현할 만도 한 듯. 출산기피 현상 확산에 성공 여부는 불투명하다.
▲1856년 독일 작곡가 로베르트 슈만 사망 ▲1836년 파리 개선문 준공 ▲1932년 경북지방 혹서(41∼42℃)로 5명 사망.
조문호기자 news119@imaeil.com





























댓글 많은 뉴스
민주당 '검사징계법 폐지안' 발의…검사도 '파면' 길 열리나
한미 관세·안보 협상 팩트시트 최종 합의..李대통령 직접 발표
'이재명은 재림예수인 듯' 출판기념회 "정치-종교, 인간-신의 경계 넘나드는 시도"
날벼락 맞은 특검…황교안·박성재 구속영장 기각
떠나는 길 꽃달고 활짝 웃은 노만석…'항소 포기' 설명은 없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