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걱정되는 盧-朴 동상이몽의 만남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이렇게 동상이몽(同床異夢)으로 만나는 영수회담도 처음일 것이다. 노무현 대통령은 '오로지 연정'을, 박근혜 대표는 '연정 불가(不可)' 피킷을 들고 내일 오후 청와대 다방에서 티타임을 갖는다. 구혼(求婚)이야 한 쪽이 싫다 하면 그걸로 끝내면 그만인데, 국사(國事)에 관한 문제는 한번 만나 돌아섰다고 끝이 아니다.

본란은 두 분의 만남이 국민의 사활(死活)에 있는 것이지 대통령과 야당대표의 정치적 사활에 있는 것이 아님을 역설한다.

그러하기 때문에 '노'박 회담'은 '연정(聯政)회담'으로 끝날 수는 없다. 국정전반을 논의하는 자리라면 당연히 '민생회담'으로 종결되어야 한다. 당장 오늘 아침 세계은행은 한국 정부의 경쟁력이 2002년 세계 50위에서 2년만에 60위로, DJ때보다도 더 떨어졌다고 전했다. 이 밥맛 없는 뉴스 속에 열리는 영수회담이라면 칼로 무라도 썰어내야 하지 않겠는가.

연정 집착과 연정 거부의 내용은 국민의 미주알 고주알, 몸서리가 날만큼 안다. 그러니 내일 만남에서 이 주제는 상호 의사전달 수준에서 종결짓는 것이 합당하다고 본다. 노 대통령은 어제 "소모적 정쟁과 대립의 문화극복 없이는 민생경제를 올바로 다룰 수 없다"고 했다. 같은 날 56세의 한 실업자는 "가진 건 집 한채 뿐인데 세금만 자꾸 올려서 못살겠다"고 하소연 했다. 노 대통령은 이 실업자 앞에서 "대연정만 되면, 중대선거구제만 되면 당신의 고민은 해결된다"고 설득할 수 있는가? 국정에 공동책임을 진 열린우리당 지도부가 뜬금없이 박 대표 치켜세우기에 열올리는 것도 가관이다. 이런 식이면 회담이 실패하자마자 막말정치를 시작할 사람들로 보이지 않는가.이 점에선 박 대표 쪽도 자유롭지 않다. 민생이 실패했다면 제1야당으로서 대안을 제시하고 다음 선거때 집권세력의 잘잘못을 국민앞에 심판받게 하면 될 일이다. 선거구제 문제도 버티기만 해서야 '기득권 집착'이란 여당의 공세를 피할 수가 없다. 논의하되 국정의 우선순위상 올해는 안된다고 주장하는 것이 더 합리적이다. 모처럼 만남에서 "노(NO)"만 외치다 나오면 그야말로 반노(反盧)당, 프로네임당 대표라는 낙인을 못씻는다. 내일, 일말의 희망을 걸어본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