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줏빛 바위 가에
잡고 있는 암소 놓게 하시고
나를 아니 부끄러워하시면
꽃을 꺾어 바치오리다.
작자 미상 '헌화가'
잘 알려진 우리 고대시가의 하나이지요. 동해바다 용왕도 탐냈다는 절세미인(수로부인)이 벼랑 위에 핀 꽃을 갖고 싶어합니다. 그러나 너무 위험해서 아무도 나서지 않습니다. 그 때 암소를 끌고 지나가던 노인이 수로부인 앞에 나와 자기를 부끄러워하지 않는다면 암소 고삐 놓아두고 꽃을 꺾어바치겠다고 합니다. 거절하지 않는다면 자신의 전 재산인 암소(현실)를 놓아두고 죽음의 위험도 무릅쓰겠다는 것이지요. 한마디로 무모한 제안이 아닌가요? 노인이 설령 꽃을 꺾어바친다고 해도 유부녀인 수로와의 사랑이 이루어지겠습니까? 그러나 그뿐, 사랑은 대가를 바라지 않는 법, 어찌 보면 이 무모함이야말로 이해를 초월하는 진정한 사랑이 아닌가요? 그리고 무엇보다도 아름다운 여인에게 목숨을 거는 노인의 심미적인 열정이 놀랍지 않습니까?
이진흥(시인)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野, '피고인 대통령 당선 시 재판 중지' 법 개정 추진
검찰, '尹 부부 사저' 아크로비스타 압수수색…'건진법사' 의혹 관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