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국민적 먹을거리 창출을 위해 차세대 성장동력으로 선정, 집중 육성하고 있는 10대 산업의 기술수준이 여전히 미국, 일본 등 선진국과 큰 격차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6일 과학기술부에 따르면 차세대 성장동력 10대 산업중 미래형 자동차 산업의 기술수준은 선진국에 비해 연료전지 자동차의 경우 30∼50%에 불과했고 하이브리드자동차는 20∼70%, 지능형 자동차는 66%에 그쳤다.
바이오 신약·장기산업과 차세대 전지산업도 선진국 기술수준에 비해 60%로 상당한 격차를 보이고 있고 지능형 홈 네트워크산업과 디지털콘텐츠·소프트웨어솔루션 산업은 80% 수준이었다.
차세대 반도체 산업은 60∼90%, 차세대 이동통신 산업은 80∼90% 수준으로 선진국과 기술격차가 다소 좁혀지고 있다. 반면 디지털TV·방송 산업은 선진국 대비 기술수준이 90%에 도달했으며 디스플레이 산업의 경우 원천기술은 선진국 대비 60∼80%의 수준이지만 양산기술은 선진국과 대등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법원장회의 "법치주의 실현 위해 사법독립 반드시 보장돼야"
李대통령 지지율 50%대로 하락…美 구금 여파?
李대통령 "한국서 가장 힘센 사람 됐다" 이 말에 환호나온 이유
'박정희 기념사업' 조례 폐지안 본회의 부결… 의회 앞에서 찬반 집회도
조희대 "사법개혁, 국민에게 가장 바람직한 방향 공론화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