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가 19일 공주에서 열린 확대간부 회의에서 다음주 쯤 전면파업에 나서기로 결정함에 따라 물류대란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지난 2003년 5월과 비슷한 물류 올스톱이라는 국가경제대란에 가까운 중대 사태를 맞게 된 것이다. 화물연대는 그때 정부와 11개 사항에 대해 합의를 했지만 제대로 이뤄진 게 없어 불만이 팽배해있던 중 지난 9월10일 부산 신선대 컨테이너 터미널 입구에서 화물연대 조합원 김모(48) 씨가 '생계보장' 등을 주장하면서 분신자살을 해 일촉즉발의 위기가 예견돼왔다.
화물연대 조합원들은 자신들이 주장해 온 표준요율제와 유가인하, 운송료 현실화 등의 핵심사항이 누락되자 결국 투표를 통해 총파업이라는 강경 카드를 꺼내들었다.
화물연대가 다음 주부터 전면 파업에 돌입하기로 함에 따라 어떤 방식으로든 물류수송 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을 맞게 될 전망이 높다. 화물연대는 이날 회의를 통해 21일쯤 투쟁방법과 투쟁수위에 대해 논의를 거쳐 행동에 나설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따라 포항 등 각 공단마다 물류중단을 막기 위해 대책마련에 고심이다. 포스코와 현대INI스틸, 동국제강 등 철강 대기업들은 지난 2003년 물류사태때 큰 어려움을 겪어 그동안 나름대로 대책을 마련했다. 즉 화물연대에 가입하지 않은 하청운송회사와 계약을 맺거나 자회사를 통한 운송계약으로 통해 한발짝 비켜나 있다.
그러나 화물연대의 강경투쟁으로 인한 물리력 동원으로 도로봉쇄와 공장문 점거 등의 실력행사가 벌어질 경우 제품수송이 원천 봉쇄될 수밖에 없다. 이들 3사는 육상을 통한 수송량을 철도와 해상으로 돌려 제품 수송을 원활하게 한다는 계획을 세워놓고 있다.
포스코 관계자는 "당장은 피해가 없지만 화물연대의 파업이 장기화 되거나 물리력이 동원될 경우 상황이 어떻게 바뀔지 장담할 수가 없다"면서 "정부와 화물연대가 대화로서 문제를 하루빨리 해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포항·이상원기자 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