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구미공단 환란 이후 최대의 위기

지역 동맹 통해 철회 투쟁 고삐

"IMF 환란 이후 구미공단이 최대의 위기를 맞고 있습니다."

김관용 구미시장은 수도권 공장 신·증설 허용 방침을 저지하지 못하면 '구미의 미래는 비전이 없다'는 판단 아래 이를 저지키 위해 다각적인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

"이번의 조치는 구미지역만의 문제가 아닌 수도권과 비수도권 지역 간의 심각한 문제를 불러오게 된다"는 김 시장은 "비수도권 지역에선 선택이 아닌 생존권 차원에서 지역 간 동맹을 통해 철회를 위한 투쟁의 고삐를 늦출 수 없다"며 비장한 각오를 보이고 있다.

김 시장은 "10년 동안 지켜오던 수도권 공장 신·증설 규제가 8개의 첨단업종에 대해 완화될 경우 주력업종과 일치하는 구미공단에선 천문학적인 신규투자의 역외유출 결과를 초래해 대규모 고용기회 상실은 물론 국가 4공단 조성, 디지털전자정보단지 조성, 혁신클러스터 시범사업 등 대형프로젝트 사업의 차질도 불가피해 질 수밖에 없다"며 "철회만이 지방을 살리는 길"이라고 톤을 높였다.

특히 지방의 기업들이 어려움을 극복하고 뿌리를 내려 안정된 경영을 하고 있는 시점에 지역에 기반을 두고 있는 LG계열사의 수도권 공장 신·증설 허용 결정은 대구·경북지역의 대표산업인 IT및 연관관련 산업과 R&D 기반의 동반침체 등 경제전반이 위축되는 심각성을 초래하는 만큼 비수도권 지역에선 생존권 사수 차원에서 공동대응이 절실함을 강조했다.

"수도권 집중현상은 현재 전체인구는 48%, 경제력은 69%, 100대 기업 본사 비중은 91%란 세계적으로도 찾기 어려울 정도의 심각성을 보이고 있다"고 밝힌 김 시장은 "규제조치가 완화되면 기업들의 수도권 역 투자를 초래, 지역 간의 불균형과 수도권의 과밀현상은 더욱 심화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어 김 시장은 "구미시민들을 중심으로 한 도민들 사이에는 수도권 공장 신·증설 허용 방침은 지방경제의 근간을 뒤흔드는 다급하고 절박한 문제가 되고 있는 점을 인식해 시·군의회, 경실련, YMCA 등 시민단체, 상공인, 사회단체 등을 중심으로 반대운동 및 서명운동이 조직적으로 전개되고 있다"며 "18일에는 3만여 명의 도민이 참석한 가운데 궐기대회를 갖기로 하는 등 투쟁 강도를 점차 높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김 시장은 "지방분권과 국가 균형발전에 역행하는 수도권 공장 신·증설 허용 방침은 마땅히 철회돼야 한다"며 "구미시민들은 이를 저지치 못하면 모두가 죽는다는 비장한 각오로 결의를 다지고 있다"며 지역분위기를 설명했다.

구미·박종국기자 jkpark@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