쉽게 버려지는 보릿대가 은은한 황금빛 물결치는 예술 작품으로 거듭나고 있다.아무도 흉내내지 못하는 독특한 취미를 가진 갈비집 주인 이동진(50·대구시 서구 내당4동 '참갈비') 씨.
이씨는 깨끗한 보릿대를 원재료로 전통문양부터 시작해 사군자, 인물화 등 자연 빛깔의 섬세한 작품을 빚어낸다. 심지어 시조, 반야심경 등 긴 글귀를 한자씩 본떠 금빛 찬란한 표구로도 재탄생시킨다.
이씨는 35년 전, 중학교때 은사(恩師)에게 세배를 하러갔다가 직사각 베갯모에 새겨진 전통무늬의 보릿짚 공예를 보고 그 색깔과 은은함에 매료돼 보릿대를 만지기 시작했다. 하지만 어려운 가정형편으로 인해 미술적 재능을 숨겨둔 채 생계를 위해 회사원, 자영업자 등 다양한 일을 해오다 지난해 7월부터 옛 생각을 떠올리며 본격적인 취미생활에 발을 들여놓았다.
이씨는 보리 추수 시절인 지난 가을, 고향마을인 경북 구미시 장천면 낙동강변에서 보릿짚을 구해와 작업준비를 해왔다. 가게에 있는 방을 개조해 4~5평 남짓한 작업실까지 만들었다.
지난 6개월여 동안 계속된 보릿짚 공예작품은 수십여 점. 매일 6시간씩 보름정도 걸린 대작품들도 몇 점 완성해냈다. 이색취미를 힘들게 시작한 보람도 적잖다. 평소 잘 알고 지내는 손님이나 지인들에게 보릿짚 공예 작품을 선물하면 너무 좋아한다는 것. 돈을 주고 사고자하는 손님들도 생겨나고 있지만 아직은 상업적인 거래를 삼가고 있다.
보릿짚 공예의 든든한 동반자는 바로 딸 현진(18·대학입학 예정) 양. 미술적 재능이 이어진 것일까? 현진 양은 고등학교 1학년 때 자퇴를 하고 검정고시를 거쳐 올해 미대에 입학예정인 그의 파트너다. 딸은 아버지에게 현대적 디자인을 조언할 뿐 아니라 작품 설명 및 제작 과정을 블로그(http://blog.naver.com/cham3392)에 올리는 등 전통 이색공예에 신세대적인 감각을 입히는 일도 도와주고 있다. 그는 "딸이 도와주니 외롭지도 힘들지도 않다"며 웃었다.
이씨는 오는 8월 말쯤 보릿짚 공예 전시회를 계획하고 있다. 또 전통문화상품으로 발전시켜 외국인들에게 인정받는 관광상품으로 널리 알려지는 꿈까지 갖고 있다. 그는 "보릿짚 빛깔은 보면 볼수록 빠져드는 매력이 있다"고 말했다.
권성훈기자 cdrom@msnet.co.kr
사진: :이동진 씨가 작업실에서 보릿짚을 이용, 문양 파내기 작업을 하고 있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