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배 연기에는 수많은 화학물질들이 포함돼 있습니다. 발암성 혹은 독성 물질입니다. 저타르 담배가 덜 해롭다고 생각하지 마십시오. 이 세상에 안전한 담배는 존재하지 않습니다." 국내의 한 외국계 회사가 생산'판매하는 담배갑에 동봉돼 있는 페이퍼의 문구이다. 거기선 금연도 권장된다. 담배 팔기보다는 끊어야 할 대상이라고 경고하는 데 더 열심이라 생각될 지경이다.
◇무슨 사정이 있으리라 짐작은 가지만, 담배 회사의 이런 모습은 정말 놀라운 것이다. 불과 십몇 년 전만 해도 정반대였다. 외신에는 "담배가 몸에 이롭다"는 연구 결과 보도가 줄을 이었었다. 혈액 순환에 좋다느니 하는 것이 그 예들이다. 소비를 부추기기 위해 뒷돈을 대 수행토록 한 연구 결과로 의심받았다. 그러다 흡연 피해 소송으로 거액의 배상금을 물게 되자 제조사들이 '이론'을 바꿨으리라.
◇20여 년 전 한때 미국에서는 '건강 검진 무용론'이 유포됐다고 한다. 암 같은 질병을 조기 진단해 내더라도 치료가 어렵던 당시에 무슨 소용이냐는 식이었다. 무용론 연구의 주체는 미국의 민간 보험회사들이었다. 괜히 검진을 권했다가 치료비 부담만 더 늘게 돼 나온 꾀라고 했다. 하지만 그에 앞서 '건강 검진 필수론'을 제창했던 것도 그들이었다. 그때는 그게 이득 될 것으로 생각됐을 터이다.
◇업자들만 이해관계에 따라 '이론'을 조작하는 것도 아니다. 국내에서는 20여 년 전 일회용품 사용을 절대 진리 설파하듯 권장했던 적 이 있었다. 간염을 막으려면 일회용 컵을 써야 한다는 등등이 이유였다. 그러나 곧이어 정반대 이론도 합리화됐다. "환경 오염을 막기 위해 일회용품 사용을 줄이자"는 게 후발 이론이었다. 그러나 시간 차 때문에 두 '이론' 사이의 당착은 쉽게 간파되지 못한다.
◇한 달여 전 희한한 연구 결과가 하나 나왔다. "수도권 규제가 공장의 해외 이전을 부추긴다." 그 규제를 풀면 몇십조 원의 생산이 증가해 국민총생산이 2.7% 추가 성장하며 20만 명분의 추가 일자리가 생긴다고 했다. 공장들이 "영남권에는 죽어도 가기 싫다"고 나섰다는 얘기인 셈. 그때 정작 더 놀라운 것은 영남권의 반응이었다. 수도권 규제 완화에 자폭할 듯 대규모 시위까지 벌여 놓고 한 마디 반응도 없었다. 시위도 조작됐었다는 얘기일까?
박종봉논설위원 paxkorea@msnet.com
댓글 많은 뉴스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5·18묘지 참배 가로막힌 한덕수 "저도 호남 사람…서로 사랑해야" 호소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