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한나라당 공천자 선정작업 어떻게 진행되나?

한나라당이 5·31 지방선거 공천자 선정 작업을 벌이고 있다. 심판(공천심사위원)의 처방에 선수(공천신청자)는 노심초사다. 공천이 어떻게 진행되는지도 관심사다. 공천작업은 크게 당원 투표와 출마신청자 간 합의에 의한 여론조사로 나뉘는 경선과 서류심사로 대변된다. 어떻게 진행될까?

◆경선 1

중앙당 지침에 따라 대구시당 및 경북도당이 경선 대원칙을 정했다.

경북도당 공천심사위원회는 8일 "지역별 유권자의 0.5% 이상, 최소 1천 명 이상을 경선 선거인단으로 구성하는 것을 대원칙으로 해 오는 15일 안동시장 및 도의원 2곳의 경선에부터 적용한다"며 "16일 고령과 20일 성주군수 경선 등에도 선거인단 인원에 약간의 차이는 있지만 대원칙을 준용한다"고 밝혔다.

중앙당 지침 등에 따르면 일반국민의 경우 현실적으로 참여율이 극히 미미하다고 판단, 경선 선거인단에 포함시키지 않기로 했다. 이에 따라 여성 50%, 만 40세 미만 30%를 가급적 충족시키는 전제 아래 당원(일반 및 책임당원) 80%, 여론조사 20%를 각각 반영한다.

당원의 경우 책임당원 중 표본추출로 선정된 이와 일정 이상 당원 교육 이수자 50%, 1차 선정에서 탈락한 책임당원 중 재선정자와 일반당원 50% 등으로 구성된다. 30~50명선인 지역별 당원협의회 운영위원은 자동으로 선거인단에 포함된다.

이번 경선은 책임당원이 공천자 선정 열쇠를 쥘 전망이다. 실제 안동시장 경선의 경우 선거인단은 3천200여 명으로 구성되며 이중 책임당원은 2천400명, 당원교육을 받은 일반당원은 800여 명으로 구성된다.

하지만 책임당원의 선정 공정성을 놓고 벌써 시비가 일고 있다. 경북 일부 지역의 경우 지난해 책임당원 모집 과정에서 출마희망자들에게 일정 비율의 책임당원 추전을 할당한 것으로 알려져 문제가 되고 있고, 당 공천이 임박해 출마를 선언한 희망자의 경우 추천 책임당원이 없어 불공성 경쟁을 제기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경선 2

많지는 않지만 공천 신청자 합의에 의한 간접 경선도 예상된다.

출마희망자가 많은 지역은 공천심사에서 몇 차례 후보를 압축한다. 3, 4명으로 압축된 공천신청자 간 우열을 가리기 힘들 경우 공천신청자끼리 서면합의 후 여론조사를 통해 경선한다는 것.

당원투표에 의한 직접 경선이 여러 휴유증을 낳을 수 있는데다 공천자 결정 과정에서 지역 여론 분열 우려도 있어 이를 덜기 위한 임시방편이기도 하다.

하지만 간접 경선 역시 누가 주도해 여론조사기관을 선정하고, 또 선정된 여론조사 기관이 내논 결과를 믿어줄지 논란이 일 전망이다.

◆공천심사

경선을 하지 않을 경우 공천심사위원들이 '출전 선수'를 가려낸다.

그 절차는 우선 도덕성을 가장 큰 잣대로 1차 '솎아내기'를 한다. 강력범, 사기범, 경범죄자이지만 전과가 많은 자, 사기·횡령·성범죄 등 파렴치범, 선거법 위반 등 흠집이 많은 공천신청자들이 여기에 해당된다.

심사위원들은 간단한 예선을 거쳐 자체 본선에 오른 출마희망자들을 대상으로 서류심사를 통해 후보를 3명 이내(출마희망자가 많은 지역은 최대 4명까지)로 압축한다. 경쟁이 치열한 지역 등은 ARS여론조사를 통해 후보자를 3~4명 이내로 줄인다. 여론조사는 늦어도 이번 주말까지 끝낸다. 압축된 후보는 공천심사위원들 투표를 통해 최종 당 공천자로 결정된다.

투표 방식은 무기명 비밀투표로 전체 공천심사위원 11명 중 3분의 2 이상인 8명 이상이 찬성하면 공천자로 선발된다. 이종규기자 jongku@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