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이총리 골프파동 후 공직자 필드 출입 '뚝'

이해찬 국무총리의 이른바 '3·1절 부산 골프 파동' 이후 골프장을 찾는 공무원들이 부쩍 줄었다. 오는 5·31 지방선거를 앞두고 가뜩이나 몸을 움츠렸던 공직자들이 이 총리 파문을 계기로 골프장에 발길을 아예 끊고 있다는 것. 이들은 "공직자가 골프를 치는 행위가 공무원 행동강령을 어기는 행동은 아니지만 법과 원칙을 뛰어넘는 도덕적 잣대와 '국민정서'를 무시할 수 없다"고 했다.

골프광으로 소문난 경북지역의 한 자치단체장. 그는 "주말이면 일정을 조정해서라도 필드로 나갔는데 요즘들어 완전히 발길을 끊었다"며 "요즘같은 시기에 구설수에 올랐다가는 뒷감당을 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대구시내 한 구청의 고위간부도 "국무총리가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는데 어떤 간 큰 사람이 골프장에 갈 수 있겠냐"며 "한달 1, 2번 정도 골프장에 나갔지만 요즘엔 오해의 소지가 있는 사람들과는 아예 자리를 피한다"고 전했다.

또다른 구청 고위간부는 "골프는 워낙 민감한 운동이라 이슈가 있을때마다 정치적으로 이용되는 경향이 있다"며 "공무원 신분 때문에 개인적으로 친분 있는 사람과 골프를 치는 것까지 망설이게 되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현행 국가청렴위원회가 만든 공무원 행동강령은 '직무관련자 또는 직무관련 공무원으로부터 받는 접대 골프는 금지한다'고 규정하고 있다.

한편 고위 공직자들의 발길이 줄면서 본격적 성수기를 맞은 지역골프장들도 줄어드는 예약으로 울상을 짓고 있다.

경북지역 한 골프장 관계자는 "골프 시즌이 본격 시작됐지만 공인들은 구설수에 오를 것을 우려, 잘 나오지 않는 편"이라 최근 골프장 분위기를 전했다. 그는 또 "경기 침체와 골프장 증가, 해외 라운딩객들의 증가와 5·31선거로 가뜩이나 내장객이 줄어들고 있는 판에 총리의 골프 파동까지 겹치면서 지난해 같은 시기에 비해 이용객이 상당히 줄어 주말에도 여유가 있을 정도"라고 하소연했다.

장성현기자 jacksoul@msnet.co.kr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