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은 골프파문으로 물러난이해찬(李海瓚) 전 총리의 후임자를 금주중 지명할 방침인 것으로 19일 알려졌다.
후임 총리는 비정치인 출신으로 노 대통령의 국정철학과 정책에 정통한 측근 인사의 기용이 유력시된다.
이 같은 인선기준에 비춰볼 때 김병준(金秉準) 청와대 정책실장의 발탁 가능성이 높게 점쳐지고 있는 가운데 전윤철(田允喆) 감사원장도 후보군에 올라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대통령이 심사숙고해서가급적 빨리 총리 후보를 단수로 지명할 것으로 본다"며 "총리 후보는 내부 검증 절차를 거치지만 인사추천회의에 올리는 사항은 아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총리 인선 시기를 언제라고 말하기는 힘들지만 예상보다 빨리 지명할 수도 있어 보인다"고 덧붙였다.
노 대통령은 지난 17일 여야 원내대표 초청 청와대 회동에서 국정공백 최소화를위해 후임총리 조기인선 방침을 밝힌뒤 "정치적 중립을 지킬테니 대통령과 뜻을 같이 하는 사람을 할 수 있도록 도와달라"고 협조를 요청했다.
노 대통령은 새 총리에게 이해찬 전 총리와 마찬가지로 내치와 관련된 주요 국정 현안을 맡김으로써 대통령과 총리가 국정을 분담하는 형태의 책임총리제로 운영할 방침인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핵심관계자는 "새 총리의 인선기조가 국정을 꼼꼼히 챙길 수 있고, 일을많이 하는 책임총리 콘셉트로 잡혀 있어, 정치인 출신이 아닐 가능성이 크지만 그렇다고 명망가나 관리형 총리, 여성총리 발탁 가능성도 낮아 보인다"고 말했다.
특히 노 대통령은 열린우리당 당적 이탈에 부정적인 입장을 밝힌데 이어 총리인선 과정에서 야당의 의견을 수렴하는 등 야당과의 대화 노선을 강조하고 나서 새총리 인선을 계기로 안정, 화합형 국정운영기조를 견지할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노 대통령은 이 같은 기조에 따라 후반기 국정운영을 지난해의 대연정(大聯政) 제안이나 탈당, 거국내각구성 등 정국 유동성을 증폭시키는 새로운 정치적 제안보다는 새 총리에 내치 현안을 맡기고 양극화 해소,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타결 등 두과제와 외교안보 현안에 집중할 전망이다.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여야 원내대표 초청 청와대 회동 분위기는 대통령의 후반기 국정운영 기조를 짐작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 같다"며 "정치적 인화성이 높은사안보다는 기존에 제시한 정책과제들을 관리하는 방향으로 국정을 운영할 것으로보인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당정분리 원칙에 따라 지방선거를 비롯해 정치사안은 당에 맡기고중요 정책 입법사안의 원만한 국회 처리를 야당에 협조를 구하는 한편 대통령은 미래 국정구상이나 큰 틀의 정책 관리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