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새총리 '한명숙 카드' 배경…야당 반대 덜해

열린우리당 한명숙(韓明淑) 국회의원이 첫 여성총리에 내정된 것으로 알려진 것은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임기 후반기 국정운영 구상과 여소야대 의회구도 및 향후 정치일정 등이 종합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사회 양극화 해법 마련과 한미 FTA(자유무역협정) 체결 등 남은 임기 핵심 국정과제를 잘 마무리하기 위해서는 정치권, 특히 야당과의 원만한 관계가 필수적이며, 이런 판단을 전제로 한 의원을 새 총리에 어울리는 인물로 보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한 의원이 정치색이 엷은데다, 온화하고 합리적인 성품의 소유자로 야당의 반대가 상대적으로 덜 할 것이란 인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당초 총리후보로 유력하게 부상했던 김병준(金秉準) 청와대 정책실장에 대해 한나라당이 "전형적인 코드인사"라며 거부 입장을 취하자 총리 인선에 관한 청와대 내부의 무게중심이 '한명숙 카드'로 쏠린 것이 이를 입증한다.

청와대 기류 변화는 무엇보다도 두 달여 앞으로 다가온 5·31 지방선거는 물론, 올 하반기 개헌논의와 맞물릴 대선정국 등 향후 정치일정을 염두에 둔 측면이 강하다는 분석이다.

바꿔 말하면 참여정부 출범 때 만든 각종 개혁로드맵에 대한 가시적 성과를 도출하고 FTA 등 주요 국정과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는 과정에서 야당과의 갈등요인 등 정치적 시빗거리를 가급적 만들지 않아야 한다는 판단이 깔려 있다는 얘기다.

여당 입장에서 보면 지방선거 후 여당 당적 이탈 등 초당적 국정운영을 위한 '특단의 카드'가 있을 것이란 관측이 적지 않았던 상황에서 노 대통령이 여당 의원을 총리로 지명한다는 것은 '정치에서의 당정분리와 정책에서의 당정일체'를 원칙으로 하는 당청관계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될 여지가 많다.

동시에 한 의원이 국민의 정부 때 초대 여성부 장관을 지내는 등 김대중(金大中) 전 대통령을 비롯한 동교동 측과 친분이 두텁고, 오랫동안 재야운동을 했다는 점에서 민주당과 시민사회도 아우를 수 있다는 전망도 제기된다.

여기에 한 의원이 참여정부 정책 전반에 걸쳐 식견을 갖추고 있다는 점도 배경으로 보인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