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럼즈펠드 "작전권 이양 바람직…미군 감군 가능"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 국방장관은 23일(현지시간) 전시작전통제권의 한국군 이양을 기정사실화하고, "한국군이 점점 더 많은 임무를 떠맡게 되면, (그만큼) 미국은 주한미군을 줄여도 될 것"이라고 말했다.

럼즈펠드 장관은 이날 국방부 브리핑에서 그러나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다."며 "한·미 양국은, 누구나 바라는 대로(one would hope), 한반도에 불안을 초래하지 않는 속도와 방식으로 그렇게 하게 될 것이라고 나는 확신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정부가 전시작전통제권의 한국군 이양문제를 매듭짓기를 원하는데 그럴 경우 한반도 안보와 안정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이냐.'는 질문에 "한국 정부가이양의 적절한 시점에 관해 문제를 제기했으며, 그 문제가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시점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지만, "한국전 후 55년이 지난 만큼 한국군이 점점 더 많은 책임을 떠맡으려는 게 합리적이라는 데 누구나 동의하며, 실제로 한국군은 그렇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럼즈펠드 장관은 작전통제권 이양이 '금년내' 시작될 것이냐는 질문엔 "전혀 그렇지 않다."고 말했다.

이에 앞서 윌리엄 팰런 미 태평양 사령관과 버웰 벨 주한미군 사령관도 한미간 전시작전통제권 이양 일정이 오는 10월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에서 보고될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팰런 사령관은 7일 상원 군사위에서 "특히 지상 군사작전에 대해 더 많은 책임을 맡으려는 한국 정부의 바람이 한·미간 협력을 통해 실행력있는 계획으로 발전하게 되면, (주한)미군의 수준이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9일 하원 군사위 청문회 후 "최종 결론까지는 먼 길이 남았지만, 주한미군의 역할이 변화할 경우 그 규모가 당연히 다른 숫자가 될 것(may very well end up with other numbers)"이라고 확인했다.

작전통제권 이양 문제와 별개로 현재 진행중인 주한미군 감축 계획이 예정대로 완료되면 2008년 말엔 2만5천 명으로 줄어들게 된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