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국가 건설 '은퇴자 마을' 주목한다

농림부가 농어촌에 '은퇴자 마을'을 만들겠다고 나섰다. 각 시'군이 건설을 주도하고 국가는 기반조성비 등의 지원을 맡되 건설은 민간 업체에 맡기겠다는 것이다. 지난달에 이 같은 정책을 발표했고 지난 15일까지 각 시'군으로부터 참여 의향서를 받았으며, 오는 10월 건설 후보지 확정, 그 일년 후 분양 등으로 건설 일정을 잡아 놓고 있다. 사업 첫해인 올해는 전국에 10여 개 대상지를 선정할 계획이고, 경북에서는 성주군 벽진면 매수리 일원이 후보지로 신청됐다. 거기엔 55억 원을 지원해 2만 평의 터를 마련해 50가구 규모의 마을을 만들며, 각 가구엔 주택용지 150평과 텃밭 100여 평이 돌아가도록 구상됐다. 올해는 시범 사업이지만, 본격화되는 내년엔 경주'안동'영천'상주'봉화 등 5개 시'군이 이 사업을 시행키 위해 준비 중이라고 한다.

성패가 어떨지는 알 수 없으나 주목할만한 프로젝트임에는 틀림없어 보인다. 도시 은퇴세대에게 그 후 생활이 매우 중요한 관심거리로 부상했기 때문이다. 동남아 국가들이 오래 전부터 한국인'일본인 은퇴자 유치 활동을 벌이고 있는 것도 그 흐름을 알기 때문이다. 이미 20년 전에 이 분야 사업에 눈뜬 말레이시아는 관련 규정까지 대폭 완화, 허용 체류 기한을 5년에서 10년으로 늘려 다음달부터 적용키로 했다. 태국은 12개의 장기체류 도시를 작년 10월 지정하고 앞으로 3년 간 5조 원을 들여 외국인 10만 명 체류 시설을 만들 계획이다. 필리핀은 외국인 은퇴자 시설을 60곳으로 늘리고 올해 2천 명을 유치할 계획이다.

은퇴자 유치는 국내 농어촌에도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농산물 시장 개방으로 농업'농민이 무너지는 가운데 농촌이나마 지켜내려면 새 인구 유입이 절실하기 때문이다. 농촌 인구가 도시 은퇴자를 중심으로 일부 증가하는 추세를 보인 일본의 전례가 있고, 마침 국내 도시인의 56%가 은퇴 후 농어촌 이주 의사를 갖고 있다는 설문조사 결과가 나온 바도 있다. 그런데도 국내에서는 농어촌으로의 은퇴자 유치를 위한 공공 프로그램이 없어 대부분의 개인들은 이주를 엄두 내기 쉽잖았다. 은퇴자 마을에 주목하는 것은 그 때문이다. 이번 은퇴자 마을 사업은 중산층을 대상으로 한다지만, 앞으로 임대 등의 방식을 통해 대상을 넓혀 나간다면 농촌 살리기에 큰 힘이 되리라 기대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