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가짜 수급자' 발본색원해야 한다

복지부가 '국민기초생활보장법' 시행 5년여 만에 처음으로 기초생활보장제도 부정 수급자들을 색출하기 위한 일제 조사를 시작하는 것은 구멍 뚫린 수급 제도를 이제라도 바로잡겠다는 강력한 의지의 표출로 보인다. 복지부는 내달 중 강도 높은 조사를 벌여 152만여 명의 수급자 중 최소 5만 명 정도의 부정 수급자를 가려낼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수급권 박탈 및 형사 고발 등 강력한 제재 조치도 취할 방침이라고 한다.

'가짜 극빈층' 의혹은 진작부터 있었다. 지난해 복지부 조사에 따르면 기초수급자 중 1억 원 이상 금융자산가가 1천9명, 5천만 원~1억 원 미만도 1천62명이나 됐다. 기초수급자 8만 2천200여 명이 2000년부터 2005년 9월 사이 해외여행을 다녀온 사실이 국정감사에서 밝혀져 수급 자격 논란이 일기도 했다.

기초수급자 선정 자격이 4인 가족 기준 월 소득 113만 6천 원 이하(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 포함)임을 두고 볼 때 가짜 수급자가 얼마나 될지 알 수 없을 정도다. 작년만 해도 생계급여와 의료급여 등 모두 5조 5천100여억 원이 지급됐는데 엉뚱한 곳으로 예산이 줄줄 새 나간 셈이다.

근거 자료의 부실이 주원인이다. 작년 8월 현재 대상자 148만여 명 중 소득 신고 근로자는 1천350명에 그쳤다. 나머지는 지방자치단체의 담당자들이 3개월에 한 번씩 소득 변동을 파악했고, 그나마 일용직'임시직은 소득 증빙이 불가능한 실정이다.

기초생활보장제는 복지 정책의 근간이라 할 만큼 중요하다. 제도적인 허점은 즉각 고치고, 끊임없는 관리'감독으로 합리적인 복지가 뿌리 내리도록 해야 한다. 정부는 정확하고 철저한 조사를 통해 엉터리 가짜 수급자들을 가려내 '진짜 극빈자'들을 두 번 울리는 이 같은 부정이 다시는 자리 잡지 못하도록 해야 한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