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의원 급여(의정활동비+월정수당)의 '양극화'가 뚜렷하다.
전국 250개 지방자치단체 중 절반 가량이 지방의원 급여 수준을 결정한 가운데 그 편차가 최고 25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전국 지자체들에 따르면 17일까지 전국 250개(광역 16·기초 234) 지자체 중 절반 가까운 121곳이 해당 지방의원들의 의정비 상한선을 결정했다.
이 가운데 광역과 기초를 통틀어 지방의원 연봉 1위는 서울시(6천804만 원)로 종전(3천120만 원)에 비해 무려 118%나 뛰었다.
그 다음은 ▷부산 5천637만 원 ▷대구 5천40만 원 ▷대전 4천908만 원 ▷경북 4천248만 원 순이다.
이미 결정된 광역 중 가장 낮은 곳은 전남도(3천960만 원)로 서울시의 58.2%에 불과했다.
기초 중에는 경남 창원(3천720만 원)이 가장 높았지만, 이 역시 광역 중 가장 낮은 전남 수준을 밑돌았다.
전반적으로 유급화 전보다 올랐지만 충북 증평(1천920만 원)은 9%, 충남 태안(2천11만 원)은 5% 낮아졌다. 제주시, 충북 괴산 등 6곳은 종전 수준(2천120만 원)을 유지했다.
광역과 기초를 함께 볼 때 가장 높은 서울은 가장 낮은 증평의 3.5배에 달했다.
또 광역 중 최고인 서울은 최하인 전남의 1.7배, 기초 중 최고인 창원은 최저인 증평의 1.9배나 돼 극명한 '부익부 빈익빈' 양상을 보였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