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지방의원 급여 '양극화'…서울시 6천804만원 '최고'

지방의원 급여(의정활동비+월정수당)의 '양극화'가 뚜렷하다.

전국 250개 지방자치단체 중 절반 가량이 지방의원 급여 수준을 결정한 가운데 그 편차가 최고 250%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8일 전국 지자체들에 따르면 17일까지 전국 250개(광역 16·기초 234) 지자체 중 절반 가까운 121곳이 해당 지방의원들의 의정비 상한선을 결정했다.

이 가운데 광역과 기초를 통틀어 지방의원 연봉 1위는 서울시(6천804만 원)로 종전(3천120만 원)에 비해 무려 118%나 뛰었다.

그 다음은 ▷부산 5천637만 원 ▷대구 5천40만 원 ▷대전 4천908만 원 ▷경북 4천248만 원 순이다.

이미 결정된 광역 중 가장 낮은 곳은 전남도(3천960만 원)로 서울시의 58.2%에 불과했다.

기초 중에는 경남 창원(3천720만 원)이 가장 높았지만, 이 역시 광역 중 가장 낮은 전남 수준을 밑돌았다.

전반적으로 유급화 전보다 올랐지만 충북 증평(1천920만 원)은 9%, 충남 태안(2천11만 원)은 5% 낮아졌다. 제주시, 충북 괴산 등 6곳은 종전 수준(2천120만 원)을 유지했다.

광역과 기초를 함께 볼 때 가장 높은 서울은 가장 낮은 증평의 3.5배에 달했다.

또 광역 중 최고인 서울은 최하인 전남의 1.7배, 기초 중 최고인 창원은 최저인 증평의 1.9배나 돼 극명한 '부익부 빈익빈' 양상을 보였다.

연합뉴스

최신 기사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