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마다 수백억 원씩 들여 지어 놓은 문화예술회관에 비문화 행사와 상업성 행사가 판을 치고 있어 빈축을 사고 있다.
운영능력은 물론 운영재원조차 마련해 두지 않은 자치단체들이 건물만 덜렁 지어 놓은 뒤 회관을 아예 '세외수입 올리는 곳'으로 변질시키고 있는 것.
지난 11일 오후 대구 달서구 장기동 '달서첨단문화회관' 대공연장. 수백 명이 넘는 사람들이 모여 있었다. 그러나 무대 위에는 한 명의 배우도, 연주자도 보이지 않았다. 자리에 앉은 한 관객에게 "무슨 공연을 보러 왔는지" 물었더니 의아하다는 듯 쳐다봤다. 곧이어 달서구음식업협회에서 주관하는 식품위생교육이 시작됐다.
이곳 운영담당 공무원들에게 확인한 결과 달서첨단문화회관이 지난해 전문공연단체에 공연장을 빌려준 것은 18차례 뿐. 지난해 1년 동안 전체 대관횟수 128회 가운데 85%가 식품위생교육 등 문화공연과 직접적 관련이 없다는 것.
같은 날 오후 서구 이현동 '서구문화회관'. '갤러리'라는 표찰이 붙은 곳의 문을 열어보니 노래방 기기가 자리를 차지하고 있었다. 여러 개의 의자들도 널려 있었다. 이곳이 갤러리로 거의 사용되지 않고 있음을 보여줬다.
실제로 각 문예회관의 지난해 갤러리 대관 현황을 파악한 결과, ▷서구문화회관 6회(31일) ▷달서첨단문화회관 11회(79일) ▷북구문화예술회관 19회(69일) ▷동구문화체육회관 39회(221일) 등에 머물렀다.
문예회관의 파행운영은 이뿐이 아니다. 각 구청은 아예 문예회관 곳곳을 임대, 수익사업에 열을 올리고 있었다.
지난 11일 오전 10시 북구 관음동 북구문예회관. "하나 둘 찍고, 하나 둘 돌고" 경쾌한 음악 사이로 에어로빅 복장을 한 여성들이 땀을 뻘뻘 흘리고 있었다.
'문화관'이라고 쓰인 곳에서는 러닝머신에 몸을 맡긴 여성들과, 스쿼시 라켓을 쉼없이 휘두르는 사람들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사실상 스포츠센터였다.
북구문예회관은 헬스, 에어로빅 등 체육시설과 예식장 및 웨딩숍 임대수입을 통해 지난해 1억 6천여만 원을 벌어들였다.
수영장·체육관·헬스장·예식장 등이 있는 동구문화체육회관도 지난해 전체 수입 15억 5천여만 원 중 임대수입(8억 3천만 원)이 절반을 넘었다. 달서첨단문화회관은 지난해 전체 수입 2억 4천300만 원 중 수영장 임대수입이 1억 5천200만 원에 이르렀다.
대경대 연극영화방송학부 장진호 교수는 "문예회관에 문화예술의 향기는 온데간데없고 상업성 행사가 더 많은 것은 세금을 통해 문예회관 건축 재원을 부담한 시민들을 우롱하는 처사"라고 지적했다. 그는 또 "민선 단체장들이 표를 얻으려 전시행정을 펴는 데 앞장서면서 너도나도 건물 지어 올리는 데만 신경쓰다 보니 결국 이러한 문제가 발생했으며 이제라도 '어떻게 운영할 것인가'라는 소프트웨어에 대한 고민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욱진기자 penchok@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