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가구의 소득 격차가 관련 통계가 작성된 2003년이후 최대의 수준으로 벌어졌다.
통계청이 10일 발표한 '1.4분기 가계수지동향'에 따르면 2인 이상 전국 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306만2천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의 293만8천원보다 4.2%가 늘어났다.
이는 1.4분기 기준으로 2004년 6.8%, 작년 5.8%에 비해 둔화된 것이다.
물가상승을 감안한 전국가구 실질소득은 월평균 255만8천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의 251만1천원보다 1.9% 증가했다.
전국 가구를 소득 순위별로 20%씩 5개 분위로 구분했을 때 5분위 소득을 1분위로 나눈 소득배율은 8.36으로 나타났다.
전국가구의 소득배율은 1.4분기 기준으로 2003년 7.81, 2004년 7.75, 2005년 8.22 등으로 갈수록 확대되는 추세다.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득배율은 5.80으로 작년 같은 분기의 5.87과 비교했을 때 조금 개선됐지만 사실상 별다른 변화가 없는 수준이다.
또 전국 가구 가운데 적자 가구는 지난 1.4분기에 31.8%로 작년 같은 분기의 31.3%보다 소폭 올라갔다.
최연옥 통계청 고용복지통계과장은 "전국 가구에는 자영업자 무직자 등이 포함돼 있기 때문에 도시근로자 가구에 비해 소득격차가 벌어질 수 밖에 없다"면서"이런 현상은 앞으로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전국가구의 소비지출은 월평균 220만6천원으로 작년 같은 분기에 비해 3.9%가 늘어나 작년 1.4분기의 증가율인 4.0%보다 조금 낮았다.
그러나 도시근로자가구의 소비지출은 224만4천원으로 3.4%가 늘어나는데 머물렀다.
1.4분기 기준 도시근로자 가구의 소비지출 증가율은 외환위기 당시인 98년에는 마이너스 8.8%였으나 99년 8.9%, 2000년 12.7%, 2001년 5.5%, 2002년 7.7%, 2003년 4.8%, 2004년 8.5%, 2005년 4.5% 등이었다.
조세.공적연금.사회보험 등 비소비지출은 전국 가구가 7.9% 늘어난 37만9천원, 도시근로자 가구는 9.5% 증가한 45만3천원으로 나타났다.
한편 1인가구에 대해 처음으로 조사한 결과, 여성 가구가 65.0%에 이르렀다.
1인가구주 연령별로는 60세이상이 41.4%에 이르렀고 29세이하 14.3%, 30∼39세 13.7%, 40∼49세 15.7%, 50∼59세 14.8% 등이었다.
1인가구의 월평균 소득은 115만4천원으로 2인이상 가구의 1인당평균 94만7천원보다 많았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