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을 탈출한 뒤 현재 제3국에 머물고 있는 북한 과학기술 분야의 간부와 의사 등 2명이 한국행을 희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도희윤 피랍탈북인권연대 대표는 19일 "지난 3월 중국으로 탈출한 조선과학기술총연맹 ○○도 위원장 박원두(가명·43) 씨와 1월 탈북한 조선인민무력부 산하 ○○호총국병원장인 한영임(가명·65·여) 씨 등 2명이 현재 동남아에 머물고 있다."며 "이들은 탈북자 정착프로그램이 제대로 마련되지 않은 미국보다 한국으로 오기를 바라고 있다."고 밝혔다.
도 대표는 또 "지난 5월 동남아로 이동한 이들은 현재 안전한 장소에서 한국에 입국할 준비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기계분야의 전문가로 알려진 박 씨는 현재까지 북한을 탈출한 과학자 가운데 최고위급으로 북한 과학기술과 군사시설에 관한 상당한 정보를 지니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박 씨는 과학자에 대한 열악한 처우와 과학기술 분야의 후진적 체계 등에 염증을 느껴 탈북을 결행했다고 말했다고 도 대표는 전했다.
1946년 설립된 조선과학기술총연맹은 북한의 과학기술 행정과 연구기능을 총괄하며 과학자와 3급 이상 기술자가 의무적으로 가입하도록 돼 있다.
한편, 중국 조선족 출신인 한 씨는 1970년대 중반 북한에 들어가 보건부(현재 보건성)로부터 의사면허증을 발부받아 인민무력부 산하 병원에서 군 간부들의 치료를 담당해온 것으로 알려졌다.
한 씨는 중국의 친척들로부터 발전된 남한 사정을 전해듣고 탈북을 결심했고 탈북 과정에서 중국 친척들의 결정적인 도움을 받은 것으로 전해졌다.
한 씨는 현재 가족이 북한에 남아있는 데다 병원장급으로는 첫 탈북자라는 사실 때문에 신분노출을 극도로 꺼리고 있다고 도 대표는 설명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