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일신문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로봇
mWiz 이 기사 포인트

요약정보를 가져오고 있습니다.

이 요약문은 AI가 작성했습니다. 기자가 직접 취재한 심층적인 이야기와 중요한 맥락은 본문에서 확인하셔야 합니다.

'TK통합신공항 건설사업'→ '대구도심 전투비행단 이전 건설사업'
'대구 군 공항 경북 이전 사업' 등도 물망
주호영 "TK신공항사업 국가가 나서야"

대구경북신공항도시 조감도. 대구시 제공
대구경북신공항도시 조감도. 대구시 제공

대구경북(TK) 정치권을 중심으로 '대구경북통합신공항 건설사업'의 명칭을 바꿔야 한다는 목소리가 분출하고 있다. 재원 마련 문제로 진퇴양난에 빠져있는 신공항 사업이 새로운 전기를 맞을지 주목된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주호영 국회부의장(대구 수성구갑)은 오는 18일 국회에서 '대구도심 전투비행단 이전 건설사업' 추진을 위한 정책세미나를 개최한다. 해당 사업이 지역 군 공항을 이전하는 사업임을 재차 강조하고 국가주도로 사업 추진이 될 수 있도록 공론의 장을 열 목적이다.

눈에 띄는 점은 그간 'TK통합신공항 건설사업'으로 불리던 사업명이 '대구도심 전투비행단 이전 건설사업'으로 바뀌었다는 것이다. 'TK통합신공항 건설사업'은 사업명이 '군 공항 이전'보다 '공항 건설'에 초점이 맞춰져 있어 타 지역 사람들이 볼 땐 자칫 'TK에 공항이 하나 더 생긴다'고 오해할 가능성이 높았다.

이에 '대구도심 전투비행단 이전 건설사업' 또는 '대구 군 공항 경북 이전 사업' 등 더 적확한 사업명을 써야 한다는 목소리가 TK 정치권을 중심으로 커지고 있다. 명칭 변경 시 군 공항 소음피해 등 공항 이전 명분이 더 선명히 드러나고, 국비 지원을 이끌어 내기도 낫다는 것이다.

주 부의장은 "'군 전투부대 이전'이라고 하면 당연히 국가가 해야 하는 건데, '통합신공항 건설'이라고 하면 이게 무슨 SOC(사회간접자본)사업으로 알고 있다. 사업의 본질을 알려주기 위해 이름을 바꿔야 한다"며 "대구시, 경북도 입장에서는 대체 부지 마련 등 할 만큼 한 셈이다. 이제는 국가가 나서서 사업을 이끌어야 한다"고 밝혔다.

'대구 군 공항 이전 사업'은 군 공항이 도심과 가까워 주민 소음 피해, 도시확장 제약 등의 피해를 유발, 이를 해결하고자 시작됐다. 2020년 군위군 소보면·의성군 비안면으로 이전지가 결정됐으나 재원 문제로 현재까지도 난항을 겪고 있다. 약 12조원의 사업비가 드는 만큼 정부의 재정 지원이 필수적이지만 재정 당국은 대구시가 비용을 부담하고 국방부에 신공항을 기부하는 '기부 대 양여' 방식을 고수 중이다.

많이 본 뉴스

일간
주간
월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