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송이버섯을 아십니까?"
늦은 여름에 소나무·솔송나무·잣나무 등 침엽수의 뿌리부근 또는 그루터기에 기생하는 버섯인 꽃송이버섯은 암·고혈압·당뇨 등을 다스리고 노화를 방지할 수 있는 물질로 알려진 베타글루칸(β-glucan)이 상황버섯이나 아가리쿠스보다도 많이 함유하고 있다.
국내 재배는2002년부터 시작됐다. 그러나 일본의 경우 톱밥을 이용해 키우지만 청송 부남면 구암농원 김종회(58), 김영희(51) 씨 부부는 4년 여의 연구끝에 자연환경과 유사한 낙엽송을 이용한 재배에 성공했다.
20여년 동안 재배하던 표고버섯을 포기하고 꽃송이버섯 액체종균을 낙엽송에 주입하는 방법으로 재배에 성공한 김 씨부부는 연간 4차례에 걸쳐 낙엽송 한 그루당 생체 500g(건조 50g)을 생산, 이를 배양실과 하우스에서 대량 재배하고 있다. 현재 김 씨 농장에서 액체종균을 주입시킨 낙엽송 배양목은 5만여 개에 이른다.
김종회 씨는 "한국한의학연구원이 곷송이버섯의 항암효능에 대한 동물실험결과 4주간 분말 경구투여만으로도 종양저지율이 75%나 됐다."며 "현재 농원에서 재배중인 꽃송이버섯의 경우 베타클루칸의 함량이 21.2%에서 36.6%로 대폭 강화돼 앞으로 항암면역활성 물질소재의 개발도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청송·김경돈기자 kdon@msnet.co.kr
댓글 많은 뉴스
문재인 "정치탄압"…뇌물죄 수사검사 공수처에 고발
이준석, 전장연 성당 시위에 "사회적 약자 프레임 악용한 집단 이기주의"
[전문] 한덕수, 대선 출마 "임기 3년으로 단축…개헌 완료 후 퇴임"
대법, 이재명 '선거법 위반' 파기환송…"골프발언, 허위사실공표"
민주당 "李 유죄 판단 대법관 10명 탄핵하자"…국힘 "이성 잃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