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7일 발생한 F-15K 추락사고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한미 합동 작업이 본격화됐다.
보잉 코리아는 9일 F-15K 프로그램 총괄책임자인 스티븐 윙클러 씨 등 보잉사 관계자 2명이 이날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방한했다고 밝혔다.
윙클러 씨는 10일부터 공군 사고조사위원회에 합류해 수거된 기체잔해 분석 등 사고원인 규명작업에 참여하게 된다.
앞서 보잉의 엔지니어와 기술자 4, 5명은 지난 8일부터 공군 사고조사위원회에 합류해 우리 군 관계자들과 분석작업을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군과 보잉은 사고 당시 비행에 참가한 다른 F-15K 두 대의 데이터링크시스템에 저장된 비행자료와 조종사 간 무선 교신, 기체잔해 등을 중심으로 사고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그러나 사고기에 탑재된 음성기록장치는 이날 현재까지 발견하지 못했다.
군 관계자는 "F-15K가 추락한 경북 포항 동북쪽 48㎞ 해상은 수심이 430m로 깊고 수색 구역이 넓어 블랙박스를 아직 찾지 못했다."며 "사고조사위원회의 활동과 별개로 수색작업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윙클러 씨 등 보잉 관계자들은 방한 직후 대전 국립현충원에서 열린 순직 조종사 고(故) 김성대(36·공사 41기) 중령과 이재욱(32·공사 44기) 소령의 안장식에 참가해 고인들을 추모했다.
연합뉴스
댓글 많은 뉴스
"성추행 호소하자 2차 가해, 조국은 침묵"…강미정, 혁신당 탈당
7년 만에 악수 나눈 우원식·김정은…李대통령, 禹 통해 전한 메시지는?
우원식 "김정은과 악수한 것 자체가 성과"…방중일정 자평
[단독] "TK통합신공항 사업명 바꾸자"…TK 정치권서 목소리
고개 숙인 조국혁신당 "성비위 재발 막겠다…피해회복 끝까지 노력"